[이뉴스투데이 이채연 기자] 국회미래연구원이 16일 ‘국가미래전략 Insight’ 제116호를 발간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미래사회에 대한 연령별 인식을 비교하고 시사점 제시했다.
이날 국회미래연구원에 따르면 보고서는 저출생·고령화, 기후위기, 디지털 전환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의제 설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고서에서는 국회미래연구원의 ‘2024년 국민 미래인식·가치관 조사’를 활용해 연령집단(1020, 3040, 5060)간 사회인식 차이를 분석했다.
1020은 결혼과 출산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고, 정년 연장에 대해서 청년층의 일자리 기회 감소를 우려했다. 5060은 정년 연장이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디지털 전환 이슈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1020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 신뢰수준이 높았다.
기후 변화 이슈에 대해서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1020은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을, 5060은 생활의 불편함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는 분석 결과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사회 이슈별 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인구변화 이슈에 대해서 청년층의 경제적·사회적 부담 완화를 위한 결혼, 출산·육아에 대한 제도적 지원, 세대 간 자원 배분의 형평성을 고려한 연금개혁과 노동 구조 설계, 정년 연장을 청년 고용 확대와 연계하는 정책적 조정 등을 제안했다.
또 기술 소외 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마련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세대별 정책 수용성 차이를 반영한 기후 정책 설계, 탄소 중립을 위한 산업구조 전환, 친환경 프로젝트 및 국제 협력 등을 제언했다.
민보경 국회미래연구원 삶의질그룹장은 “미래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세대 간 차이와 미래환경의 변화를 고려해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미래사회는 복잡한 세대 간 갈등과 구조적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과 함께 세대 맞춤형의 차별화된 정책 설계 또한 필요하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