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반면, 유료방송 시장은 성장 동력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의 'OTT 주요 현황과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전년 대비 4.7% 줄었으나 넷플릭스와 웨이브, 티빙 등 주요 OTT 서비스 매출은 6.4% 늘었다.
또한 OTT 이용률이 2021년 69.5%, 2022년 72%, 2024년 77%로 증가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유료 이용자 비율도 같은 기간 50.1%, 55.9%, 57%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올해 설문 결과 유료 OTT 이용자 중 다중구독은 평균 2.8개로 여전히 활발했고, 지급 금액은 전년보다 증가(40%)하거나 비슷하다(52.5%)는 응답이 많았다.
한편, 주요 유료 OTT의 월간 사용자 수(MAU)는 2021년까지는 급증했으나, 이후 2022년 3019만명, 2023년 3458만명, 2024년 6월 3239만명으로 등락을 거듭하며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무료 광고 기반 서비스인 유튜브의 경우 MAU가 2021년 4365만명, 2022년 4514만명, 2023년 4565만명, 2024년 6월 4625만명으로 늘었고, 일평균 사용 시간 역시 같은 기간 68.7분, 72.1분, 79.7분, 80.8분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방통위는 OTT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유료방송 가입자, 시청 시간 및 채널 수가 감소하는 등 유료방송 시장에 경쟁압력을 크게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유료방송 개별 가입자는 2021년 1656만명, 2022년 1650만명, 2023년 1643만명으로 줄었다. 올해 설문 결과 OTT를 사용한 후 유료방송을 통한 실시간 방송 시청 시간은 응답자의 40.5%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방통위는 “향후 OTT의 콘텐츠 차별화, 스포츠 독점 중계, 실시간 방송 확대 등으로 유료방송 대체효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OTT들이 자체 제작물을 제공하면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방송사와 OTT 간 경쟁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작사들은 지상파에 콘텐츠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보다 OTT를 선호한다고 응답, 방송사업자와 OTT 간 대체성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설문 결과 유튜브 등 OTT가 실시간 방송광고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광고주가 늘어(2016년 34.3→2024년 40.2%) 향후 방송광고 대신 OTT 광고를 선택하는 비율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OTT 서비스 관련 분석은 방송사업자재산상황공표,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사업자 감사보고서 및 IR 자료(2023년 자료)와 이용자 및 사업자 설문조사 등을 활용했다. 방통위는 이번 OTT 영향분석 결과를 2024년도 경쟁상황평가에 반영해 평가할 예정이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