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올해 초부터 진행된 정부의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이 미진한 점은 아쉽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국회가 탄핵 정국으로 접어들면서 통신사 간 지원금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해 거론된 단통법 폐지 법안도 연내 통과가 사실상 불투명해졌다.
통신3사, AI 컴퍼니로 대전환
올해 초부터 통신 3사는 AI 컴퍼니로 전환하기 위해 관련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도 아끼지 않았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올해 초부터 AI를 강조해왔다. 유 대표는 신년사에서 "AI 피라미드 전략 실행, AI 컴퍼니 성과 가시화, 뒷받침할 수 있는 기업 체질 개선 등 세 가지 전략을 통해 글로벌 AI 컴퍼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영섭 KT 대표도 올해 AICT(AI+ICT) 전환을 위한 행보를 이어왔다. 김 대표는 지난 2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4(MWC)에서 "이제 KT는 통신 역량에 IT와 AI를 더한 'AICT' 회사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드러내기도 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도 올해 AI와 데이터 사업에 집중해왔다.
AI 관련 사업 투자도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SK텔레콤은 올해 2월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비스 기업 '람다'에 2000만달러(약 280억원) 투자를 시작으로, 6월에는 미국 AI 검색엔진 기업 '퍼플렉시티'에 1000만달러(약 140억원)을 투자했다. 또, 지난 7월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SGH'에 2억달러(약 2800억원) 투자를 단행했다.
KT도 지난 9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AI 사업을 위해 앞으로 5년간 2조4000억원을 투자, 4조6000억원의 매출을 낸다는 구상이다. LG유플러스 역시 AI 분야에만 매년 4000억~5000억원 정도 지속 투자해 2028년까지 최대 3조원을 투자하는 것이 목표다.
KT 조직개편도 AI 중심이다. 기존 B2B 담당인 '엔터프라이즈부문'에 AI분야 융합사업을 담당한 '전략·신사업부문'을 합치기로 결정했다. 특히 B2B 사업 전문역량을 높이고 고품질의 사업수행을 담보하기 위해 클라우드·AI·IT 분야 전문가들을 모은 기술혁신부문 산하 'KT컨설팅그룹'을 '전략·컨설팅부문'으로 확대 재편하고 AICT(AI+통신) 사업 확대에 필요한 기술컨설팅 기능을 강화한다.
LG유플러스도 마찬가지다. 그로쓰 리딩 AX 컴퍼니(Growth Leading AX Company)로 빠르게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두고 AI 중심으로 조직개편에 나섰다. AI 기반 상품·서비스를 주도하는 일종의 컨트롤타워인 'AI Agent 추진그룹'을 신설하기도 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AI 수익화를 위해 대표 교체 카드도 꺼내들었다. 내년 3월 이사회를 통해 선임될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 내정자는 인수합병(M&A)을 통한 사업경쟁력 강화, 미래사업 전략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사업 구조 재편을 추진하는 등 '전략통'으로 불린다.
가계통신비 인하는 '감감무소식'
반면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이어져 오던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에 대해선 아직 이렇다 할 방안이 나오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통신3사의 소극적인 전환지원금 책정에 방송통신위원회는 번호이동 전환지원금 상향 지급을 요청하기도 했다. 심지어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가 탄핵정국으로 접어들자 통신사간 보조금 경쟁을 촉구하기 위해 발의된 단통법 폐지안도 지지부진하다.
2014년 10월 시행된 단통법은 이동통신사들의 지원금 경쟁을 제한하고 보조금 지원을 투명하게 공개해 지원금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보 격차를 줄이자는 것이 골자였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이후 통신사 간 지원금 경쟁이 사라지자 국민들의 가계통신비가 늘어났다는 주장이 이어졌고, 이에 정부는 법 폐지를 통해 통신사 간의 보조금 경쟁을 활성화, 통신비를 인하하겠다는 계획을 내세워 왔다.
올해 초 단통법 폐지안이 거론될 당시 통신 업계 한 관계자도 "보조금이 많이 올랐을 때는 LTE 전환 시기였고, 가입자가 많아 시장이 커지는 상황이었다"며 "현재는 5G도 성숙기에 진입했고, 대부분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시대라 이용자 유치 경쟁을 이전만큼 하진 않을 것 같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미 포화 상태인 통신 시장보다 미래 성장에 주역이 될 AI 사업에 집중하다 보니 통신사 간 지원금 경쟁이 활발해지지 않다는 것이다. 본업인 통신보다 AI에 더 치중하는 행보도 보이고 있다.
실제로 KT의 경우 지난 10월부터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당시 KT가 발표한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 운용·관리 자회사 두 곳(KT 넷코어·KT P&M)을 만들어 인력을 재배치 하는 것이었다. 현재 신입·경력직 모집에 3000명 넘게 지원자가 몰렸으며, 내년 1월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부분의 조직개편에 대해서 KT는 해당 구조조정 및 개편은 AI를 통한 역량 성장을 위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통신만 갖고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AI 분야를 좀 더 발굴해 우리의 능력으로 도입해야만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Copyright ⓒ 뉴스웨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