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힘차게 시작한 처음과는 다르게 점차 힘이 빠지는 모양새다. 서산공항, 가로림만 해양생태공원 조성 등 여러 공약 사업에서 고배를 마시며 우회로를 택해야 했고, 육군사관학교 이전 등 아예 실현이 불가능한 공약 또한 생겨났다. 충남도는 성과가 상당하다고 자부하고 실제 외자 유치 등에서도 성과를 내며 나름 고군분투 했지만, 충남이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도약하고 있다는, 또는 도약했다고 느낄 만한 성과는 아직까진 없다.
물론 베이밸리 메가시티 등 당장의 성과를 내기 어려운 장기 계획이 주를 이루다 보니 그림을 그리고 있는 단계라고도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성과를 어느 정도 거두어야 할 시점에서 잇따른 공약 사업 고배 등으로 인한 도민 좌절감과 실제 발전이 있을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울 수 없다.
이런 상황에 충남은 더욱 난관에 봉착했다. 대통령 계엄 선포 여파로 지역 발전의 핵심이 될 대부분의 사업이 무산될 위기다.
먼저, 대통령 지역공약이자, 지역 발전의 핵심이 되는 제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계획은 무산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기관 유치로 인구를 유입,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전반적인 충남발전을 꾀했던 충남도의 가장 큰 계획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 등 또 다른 대통령 공약사업에서도 '대통령 공약이기에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조차 사라져 험로가 예상된다. 김 지사가 지역 발전을 위해 대통령, 정부 등에 강력하게 약속 이행을 요구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새로운 계획수립이 시급해졌다.
국비 11조 확보를 위한 노력도 물거품이 됐다. 감액 예산안 강행이 불 보듯 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도정 전반에 안개가 낀 상황, 김 지사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대통령 계엄 사태 전, 민주당이 지난달 29일 예결위에서 감액 예산안을 단독 처리했을 당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APEC 예산 증액 필요성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 낸 바 있다. 반면 김 지사는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깡패집단'이라며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물론 야당의 예산안 단독처리가 옳다고 볼 수는 없지만, 도지사로서 대응한 이 지사와 당 중진으로서 대응한 김 지사의 행보는 명확히 다른 행보이다.
계엄사태로 인해 지역 현안에 위기가 도래하고 있다. 김 지사는 도지사로서의 역할 수행과 정치력, 리더십을 통해 이 위기를 돌파해야 할 것이다.
내포=김성현 기자 larczard@
Copyright ⓒ 중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