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상반기 휴대전화 문자 스팸 수신량이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국민 1인당 한 달에 평균 16통가량 받은 수준이다.
ⓒ 픽사베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같은 내용의 '2024년 상반기 스팸 유통 현황'을 6일 발표했다.
이 자료는 올 상반기 시행된 이용자 불법 스팸 수신량 조사(5월 23~29일)와 휴대전화·전자우편으로 수신된 스팸 신고·탐지 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담았다.
전국 12~69세 휴대전화·전자우편 사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1인당 불법 스팸 수신량을 조사한 결과, 월평균 수신량이 16.34통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2.85통이 증가해 역대 가장 많았다.
그중에서도 휴대전화 문자 스팸의 1인당 수신량은 11.59통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2.68통 늘었다.
유형별로는 주식·재테크 등 금융(6.41통) 및 도박 유형(4.58통)의 스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식투자유도 유형의 불법 스팸은 전반기 대비 25.9% 증가했다.
특히 이동통신 3사 모두 문자 스팸 수신량이 전반기 대비 증가했다. LG유플러스(032640)는 12.51통으로 전반기 대비 3.13통, KT(030200)는 11.90통으로 3.58통, SK텔레콤(017670)는 10.68통으로 1.64통 늘었다.
휴대전화 1인당 음성 스팸 수신량은 전반기 대비 0.06통 늘어난 1.53통을 기록했다. 통신사별로는 △KT 1.86통 △LG유플러스 1.71통 △SKT 1.22통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우편 1인당 스팸 수신량은 3.22통으로 지난해 하반기(3.11통)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주요 광고유형은 의약품, 성인, 도박 등이었다.
신고·탐지된 문자 스팸의 발송 경로는 국내의 경우 대량문자 발송서비스가 74.9%로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국외에서 발송된 문자 스팸의 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6.9% 늘어난 23.6%를 차지하는 등 점차 국외 발송 문자 스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스팸 신고·탐지 건은 총 601만건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22.7% (111만건) 증가했다. 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광고 유형은 통신 가입으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30.5% 줄었으나, 도박 유형은 24.4%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영규 방통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올 상반기에는 대량문자 발송서비스를 통한 문자 스팸이 급증한 가운데, 국외 발송 불법 스팸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국민 피해를 야기하는 불법 스팸 감축을 위해 지난 달 말 발표한 불법 스팸 방지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024년 상반기 스팸 유통 현황 주요 통계. ⓒ 방송통신위원회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