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등 범야권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가운데, 국민의힘 소속 친한(친한동훈)계의 선택이 주목된다.
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야(野) 6당이 이날 윤 대통령 탄핵 절차에 돌입했다. 이에 윤 대통령 탄핵은 총 300명을 기준으로 200명 이상이 찬성해야 가결될 수 있다.
현재 여야 의석수는 민주당 등 범야권 6당 192석에 국민의힘 108명으로, 향후 8명 이상 이탈해야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180일 이내에 헌법재판소 심판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서 친한계는 탄핵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해왔고 계엄 사태 이후에도 탄핵에는 선을 긋는 기류였다. 하지만 여론의 향배와 당의 각종 쇄신 요구에 대한 윤 대통령의 입장에 따라 이탈 표 규모를 예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친한계는 이날 야당의 탄핵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회 과방위 소속 박정훈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야당이 발의했던 특검은 받더라도 대통령 탄핵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표가 법의 심판을 완전히 받을 때까지 현 정부는 시간을 벌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 대표 입장에서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키는 데 부담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잠재적 대권 주자로 분류된 한 대표가 윤 대통령 탄핵을 주도한 모양새로 비칠 때 보수층의 지지를 받는 데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는 데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건 때와 마찬가지로 ‘보수 괴멸’의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다.
친한계 한 의원은 이날 경기일보와 통화에서 “탄핵은 민주당의 정권 창출을 도와주는 길”이라며 “여당이라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등 범야권은 이날 새벽 1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처리한 ‘계엄 해제 안건’을 처리하는 데 친한계 18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90명 참석에 190명이 찬성한 셈이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친분 있는 여당 의원 5∼6명과 개인적으로 소통했을 때 탄핵안에 대해 국민 뜻을 따를 수밖에 없지 않겠나 했다”며 “탄핵안 통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 대표는 ‘비상 계엄’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후속 대응책으로 내각 총사퇴, 국방부 장관 해임, 대통령 탈당 요구를 대통령실이 수용할지관심을 모으고 있다. 다만 윤 대통령 탈당의 경우 현실적으로 탄핵소추안 기각 이후 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또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은 2016년 12월 9일 박 전 대통령 탄핵안 표결 때와도 상황이 다르다. 당시 박 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은 찬성 234표로 가결됐다. 당시 새누리당에서는 비주류 주축의 비상시국위원회가 탄핵에 찬성 입장을 밝혔고, 33명 찬성표를 확보했었다.
한편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5분 만에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라고 말한 뒤 “국민과 함께 막겠다”며 결연한 의지를 보여줬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