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으면서 지역사회와 정치권으로부터 ‘정권 하수인’이라는 뭇매를 맞았다. 유 시장은 계엄 상황이 끝난 뒤에야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유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38분께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자신이 회장을 맡고 있는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 보도자료를 올리면서 ‘비상계엄 선포는 유감’ 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유 시장은 보도자료와 함께 “6시간 만에 막을 내리면서 국정 혼란과 불신을 가져온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매우 유감이다”라는 짤막한 글을 SNS에 게시했다. 그러나 유 시장이 입장을 표명한 당시는 이미 지난 밤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하고, 이날 오전 4시30분께 윤석열 대통령도 국회의 요구를 수용해 계엄 해제를 선포하는 등 모든 상황이 끝난 시점이었다.
앞서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형준 부산시장 등은 계엄상황 속에서 반대 입장을 밝힌 상황이어서 유 시장이 ‘뒷북’을 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인천시의회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유정복 시장은 시민의 시장인가, 윤석열의 시장인가”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가 국민적 반발과 논란을 일으킨 상황에서 전국의 지자체장들은 민주주의와 헌법 수호를 위해 한목소리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유 시장은 중요한 순간에 끝내 침묵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는 인천시민을 무시하는 행위이자 윤 대통령의 무지한 폭거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역 시민단체는 유 시장이 계엄 동조세력과 같다며 사퇴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이날 성명을 통해 “타 단체장들이 계엄 해제를 요구한 상황에서 유 시장은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인천시청을 통제했다”며 “이는 계엄에 동조한 것과 다름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또 뒤늦게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 명의로 유감 입장을 낸 것은 아무런 사과도 없이 ‘뒷북’ 유감을 밝힌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인천시민들은 계엄에 동조한 유정복 시장을 인천시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즉각 사퇴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유 시장은 “문맥이 아닌 특정 부분만 악의적으로 편집해 정치적 공격의 소재로 삼고 있는 일부 시민단체와 일부 지역 정치인들에게 유감을 표한다”고 답했다.
이어 “인천시청 통제 관련 당직실에서 유사시에 대비해 지자체 청사를 포함, 청사 출입자 관리를 철저히 해 달라는 지시가 있어 이를 청사에 전파한 것 뿐”이라며 “오전 2시에 청사는 통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행안부 공지에 따라 이 사실을 공지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아 불안해하고 있는 국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지역 정치권도 당리당략에 따른 정쟁이 아닌, 국민과 시민만 바라보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