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U대회 개막식 모습. 사진=광주시 제공. |
다음 바통은 충청권이 받는다. 12년 만의 하계 U대회를 대전과 세종, 충남, 충북이 공동 유치하면서다. 2027년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대회 개최 시점까지 1012일(2년 9개월여)을 남겨두고 충청권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2024 파리 올림픽에서 확인했듯이, 빅이벤트인 올림픽에 대한 관심도도 이전만 같지 않은 상황. 충청권이 U대회를 계기로 국제 도시의 발판을 마련하고, 새로운 발전의 동력을 얻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에 중도일보는 모두 5차례에 걸친 시리즈로 각 지역별 준비 현주소부터 남은 과제까지 U대회 전반을 들여다봤다. <편집자 주>
2015 U대회의 개·폐회식장으로 활용된 광주월드컵경기장 전경. 사진=이상문 기자. |
① 12년 만의 하계 U대회 성공 개최...충청권이 함께 뛴다
② 서남부 종합스포츠타운서 개회식...대전시가 그리는 미래
③ 5개 종목 열리는 충남도...도시 발전의 자극제 삼는다
④ 세종시, U대회 발판 삼아 행정수도 면모 갖출까
⑤ 2015 U대회 치룬 광주광역시, 충청권에 전하는 메시지
광주 유니버시아드 유산은 광주시체육회관 1층 로비의 기념관으로 남겨져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레거시 사업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이현제 기자. |
골프와 기계체조, 농구, 다이빙, 리듬체조, 배구, 배드민턴, 사격, 수구, 수영, 야구, 양궁, 유도, 육상, 조정, 축구, 탁구, 태권도, 테니스, 펜싱, 핸드볼 등의 종목에 382명이 출전한 대한민국은 사상 첫 종합 1위란 금자탑을 쌓았다. 금 47개, 은 33개, 동 28개 획득으로 2위 러시아(34개, 39개, 49개)와 3위 중국(34개, 21개, 16개)을 앞섰다.
개·폐회식은 광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려 시작과 끝을 알렸고, 당시 대학생 신분의 손연재(리듬체조)는 3관왕, 배드민턴의 이소희는 여자 복식과 혼합 단체전까지 2관왕에 각각 오르는 기염을 토했고, 이후로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주축으로 활약을 이어갔다. 이와 함께 남자 배드민턴의 간판 이용대와 양궁의 김우진, 기보배, 유도의 안바울과 안창림, 탁구의 김민석·전지희, 테니스의 남지성과 정현이 각각 금메달의 주인공이 되며 대회를 뜨겁게 달궜다.
광주 U대회를 빛낸 스타 플레이어. 사진=U대회 조직위 제공. |
현재 충청권 U대회 홍보대사로는 펜싱 영웅 '오상욱'과 역대 올림픽 양궁 최다 메달의 주인공 '김우진', 삐약이 탁구 선수 '신유빈'이 위촉됐으나, 나이 제한으로 인해 출전 불가능하고 신유빈만 출전 가능성을 안고 있다.
광주는 충청권 4개 시·도와 달리 1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열린 대회였던 만큼,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더욱이 2007년 유치의향서 제출 후 2008년 한차례 실패를 거쳐 다시 2009년 유치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결집력을 높였다. 12년 후 충청권이 맞이할 U대회의 성패는 결국 시민 참여에 달릴 것으로 보인다. 광주는 3만 명의 조직위원과 2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움직였다.
광주 역시 조정은 충북 충주 등 타 지역 경기장을 사용했지만, 대부분 경기가 지하철 등 대중교통으로 접근 가능한 곳에서 열린 점에서 메리트를 가졌다. 선수촌과 개·폐회식장 간 도보 10분 거리에 있는 점도 강점으로 부각됐다. 공중파를 통한 개·폐회식장 시청률도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등 국민적 관심과 시선을 모으는 데도 성공한 대회를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충청권은 4개 지역별로 산발적 경기를 갖고, 선수촌과 조직위, 폐회식은 세종, 주요 관계자 숙소와 개회식은 대전의 몫으로 돌아가는 등 분산 개최란 난제를 극복해야 한다. 결국 충청권 U대회 역시 전 국민적 관심을 모을 때만이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경제활성화 효과도 주목해야 한다. 충청권 U대회에는 전 세계 150여 개국에 걸쳐 1만 5000여 명의 선수단이 총 18개 종목에서 열띤 경합을 펼칠 예정인데, 이들이 충청권 주요 도시를 돌며 다시 찾고 싶은 이미지를 어필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대회 기간 선수단과 조직위의 거점이 될 세종시 외에도 다양한 관광과 문화 상품이 선보일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광주는 금남로와 충장로 일대 , 5.18 민주광장, 광주시립미술관 등을 통해 문화 행사 및 K-POP 공연 이벤트를 열었고, 이 과정에서 같은 해 10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이란 결실도 맺었다.
광주는 2014년 호남고속철 개통의 시너지 효과도 얻었다. 세종시엔 KTX 역사가 없고, 충청권 역시 광역철도로 연결되지 못한 아킬레스건을 안고 있다.
최근 가수 이승윤의 투어 콘서트가 진행된 광주여대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사진=이희택 기자. |
2027 U대회에 맞춰 신설되는 충남 예산의 국제 테니스장과 충북 청주의 다목적 체조경기장, 대전시의 서남부 스포츠타운이 지역 체육의 뼈대를 강화하고, 국제 스포츠 이벤트 유치의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된다. 세종시 대평동의 종합체육시설과 종합운동장은 사실상 대회 기간에 맞춰 건립이 어려워져 대회 관계자들의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 이는 세종시의 미래 발전에도 안타까운 대목으로 다가온다.
광주 대회가 가져온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와 스포츠의 융합, 친환경 대회 운영이란 지표도 잘 따져봐야 하고, ▲대회 예산(총사업비 6172억 원) 초과 및 재정 문제 ▲일부 경기장의 활용도 낮았던 문제 ▲시내 교통 혼잡 ▲숙박시설 부족 ▲외국인 대상의 교통 안내와 편의시설 부족 ▲광주시 브랜딩과 레거시(유산화) 사업 부족 등은 반면교사로 삼을 부분들이다. <끝>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2015년 U대회 기간 선수촌으로 활용된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아파트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2008년 1차 도전에 실패한 광주시. 이는 2009년 재도전 성공이란 결실로 이어졌고, 시민 참여란 결집과 관심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사진=이현제 기자. |
광주 대회의 메달들. 사진=이현제 기자. |
광주여대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입구. 사진=이희택 기자. |
광주시내(좌)와 전남과 충북으로 분산해 열린 경기장 위치도. 사진=광주시 제공. |
광주시청사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Copyright ⓒ 중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