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디언 "동덕여대 분쟁, '성평등 씨름' 국가서 '여성공간' 충돌로 번졌다"

가디언 "동덕여대 분쟁, '성평등 씨름' 국가서 '여성공간' 충돌로 번졌다"

프레시안 2024-11-28 20:59:02 신고

3줄요약

동덕여대 내 남녀공학 전환을 둘러싼 학교와 학생 간 대립 문제를 두고 "성 평등 문제로 씨름하는 나라에서의 여성 전용공간의 미래에 대한 더 넓은 논쟁으로 번진 것"이라는 외신의 평가가 나왔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6일(현지시간) "'우리는 차라리 멸망하겠다' 공학 전환 계획에 시위로 들끓는 한국 여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동덕여대 남녀공학 전환을 둘러싼 대립을 조명했다.

이 매체는 동덕여대 사태에 대해 "11일부터 학생들은 농성을 벌여 처음에는 본관을 점거하고 캠퍼스 곳곳의 교실 건물 출입을 차단했으며,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취업 박람회를 취소해야 했다"고 전하며, "이러한 항의는 일부 학과에서 남학생을 입학시키려는 계획으로 촉발됐지만, 이후 성 평등 문제로 씨름하고 있는 국가에서 여성 전용 공간의 미래에 대해 더 광범위한 충돌로 번졌다"고 평가했다.

가디언은 남녀공학 전환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한 배경에 한국의 인구 통계학적 위기가 있다고 설명했다. "동덕여대는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여성을 돕기 위해 설립됐지만 인구 위기로 인한 압박을 받고 있다"며 "이미 낮은 출산율이 계속 하락하면서 일부 대학은 잠재적으로 학과를 폐쇄하거나 완전히 폐쇄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지난 10년 동안 고등교육의 학생 등록률은 18% 급감한 300만 명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가디언은 학생들이 학교본부가 일부 학과를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알게 된 후 "이곳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의견 없이 이뤄진 대학의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항의를 시작했고, 몇 주가 지나면서 이 논쟁은 점점 더 정치적 전쟁터가 됐으며 온라인에서도 페미니스트에 대한 반발이 쏟아졌다고 설명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6일(현지시간) ""우리는 차라리 멸망하겠다' 공학 전환 계획에 시위로 들끓는 한국 여대"라는 제목으로 동덕여대 남녀공학 전환을 둘러싼 대립을 조명했다.ⓒ가디언 홈페이지 갈무리

학생들을 향한 대표적인 공격 사례로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폭력 사태 주동자들이 재산 피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발언,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의 "(학생들의 시위는) 비문명적"이라는 발언 등을 꼽았다. 이우영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의 "가능하다면 이 대학 출신은 걸러내고 싶다", "이 대학 출신 며느리는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것" 등의 발언도 소개했다.

아울러 "최근 페미니스트 활동가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반여성주의 단체 '신남성연대'의 대표는 온라인에 '폭도(동덕여대생)'의 개인 정보를 노출하겠다고 위협해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했으며, "6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했으며 동덕여대 시위를 지지한 한 여성 유튜버는 성희롱과 사칭 시도 등에 직면해 계정을 폐쇄해야 했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오늘날 일부 한국인들은 (여대를) 남성이 지배적인 국가에서 여성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요한 기관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한국은 146개국 중 성평등 부문에서 94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은 국회의원 의석의 20%에 불과하며 500대 기업 임원의 7.3%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나윤경 연세대학교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시위는 공공장소에서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안전하지 안전하지 않다는 감각이 반영된 것"이라며 최근 한국 사회를 뒤흔든 딥페이크 성착취물 사태를 비롯한 불법촬영, 스토킹, 디지털성범죄 문제를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게 여대의 주요 목적은 아니지만, 학생들은 안전한 학습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광범위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24일 오후 남녀공학 전환 반대 유인물이 가득한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 정문에서 한 학생이 학교로 들어가기 위해 신원 확인을 받고 있다. 동덕여대가 남녀공학 전환 논의를 중단하기로 하며 학생들의 점거 농성은 일단락됐지만, 이번 사태를 둘러싼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른바 '래커칠'로 상징되는 학교 측의 시위 피해에 대해 누가 책임을 지느냐 하는 문제는 여전히 양측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