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채연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올해 감소세를 보인 글로벌 명품 시장에 치명타를 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AP 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고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명품 시장 전망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의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개인 명품 시장 규모는 약 3630억유로(약 538조원)로 전년 대비 2% 줄어들 전망이다. 보고서는 앞으로 중국 내 명품 매출이 20~22%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인 페데리카 레바토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금융 위기(2008~2009년) 이후 팬데믹을 제외하고 개인 명품 산업이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고관세 정책은 명품 시장 추가 위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AP 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9월 미시간주 플린트 유세에서 “관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공언 당시 중국산 제품에 60%, 미국 수입 전 품목에 최대 2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명품 시장에서 주요 소비 시장인 미국 내 수요를 급격히 줄이고, 전 세계 명품 시장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AP 통신은 트럼프가 공언한 관세가 시행되면 명품 시장 전망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클라우디아 다르피지오 알타감마(이탈리아 명품 생산자 협회) 공동 연구자는 AP 통신에 “이것이 실행된다면 악몽이 될 수 있다”며 “유럽 브랜드는 이미 비싼 환경에서 엄청나게 비싸질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시절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한 전례가 있다.
한국무역협회 워싱턴지부에 따르면 1962년 케네디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미국 의회는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한 목적으로 의회가 가진 관세 부과 권한을 대통령에게 위임하는 조항(232조)이 포함된 무역확장법을 제정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명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미국 내 수요도 급감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명품 소비 주요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전 세계 명품 브랜드 매출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경제가 팬데믹 이후 급성장하면서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기 때문에, 트럼프의 관세는 특히 유럽과 아시아의 명품 브랜드들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명품 브랜드 생존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베인앤드컴퍼니는 보고서를 통해 내년 명품 시장이 일부 회복될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이는 경제 상황과 소비자 신뢰 회복 여부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베인은 새로운 소비 계층인 Z세대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베인 보고서에서 페데리카 레바토는 “지난 2년간 명품 소비자층이 약 5000만명 감소했다”며 “명품 브랜드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Z세대와 같은 신흥 계층을 겨냥한 혁신적인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명품 소비가 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백화점의 해외유명브랜드 매출 증감률은 전년 동월 대비 3.7% 늘었다. 지난 7월에는 원가 논란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를 기록했으나, 지난 8월부터 0.1% 소폭 상승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