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내년 초를 목표로 다시 상장 준비에 나선 가운데 비트코인 급등이 케이뱅크 상장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가상자산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제휴사인 케이뱅크의 예치금 비중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은데 득보단 실이 더 많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늦어도 내년 2월 전 기업공개(IPO)를 재추진할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상장예비심사는 지난 8월 승인됐고 그 효력은 내년 2월 말까지다. 케이뱅크는 당초 지난달 30일 유가증권시장 입성을 노렸으나 수요예측에 실패해 상장을 철회했다.
시장에서는 케이뱅크가 업비트의 예치금을 바탕으로 고객수를 빠르게 늘려온 만큼 현재의 비트코인 불장이 상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케이뱅크의 업비트 예수금은 상반기 기준 약 3조8000억원으로, 케이뱅크 전체 예수금(21조원)의 18%가량을 차지한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 불장과 함께 일부 은행에서 케이뱅크로 뭉칫돈이 이체된 것으로 전해져 업비트 예수금은 더 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는 그간 업비트 예치금으로 국공채, 환매조건부채권(RP),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MMF) 등 현금화가 빠르게 가능한 자산에 투자해왔다. 운용 수익률은 연 3% 내외로 알려졌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기 전엔 이 수익률이 거의 그대로 케이뱅크의 이익이 됐다. 하지만 7월 법 시행 이후 케이뱅크가 업비트 예치금 금리 2.1%를 부담하게 되자 예치금이 오히려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게 됐다. 케이뱅크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비용은 연간 870억원가량인데 이는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1224억원)의 70%를 웃도는 수준이다.
업비트 예치금은 가상자산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변동성이 크다는 점도 위험 요소다. 상황에 따라 급격한 자금 유출이 발생하면 케이뱅크는 고객 보호 이행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로 인한 금융당국의 깐깐한 심사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케이뱅크의 업비트 예치금 비중을) 꾸준히 줄이도록 지도 해왔다"며 "IPO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 이슈나 은행의 건전성 등이 중요한 만큼 모두 잘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상자산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 케이뱅크가 업비트로부터 받는 수수료 이익도 늘어나게 된다"면서도 "공모주 시장에서는 케이뱅크의 업비트 의존도에 대해 의심의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어 상장에 부담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