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특허청이 발표한 자료에서 최근 10년(2012~2021년) 동안 선진 5개 특허청(IP5: 한·미·중·일·유럽)에 출원된 AI 보안기술 특허는 2012년 37건에 불과했지만 연평균 51%씩 증가해 2021년에는 1492건으로 급성장했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미국이 전체의 45.9%(2987건)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고 ▲중국30.2%(1961건) ▲한국 7.6%(492건)
▲일본3.5%(225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2017년부터 일본을 추월한 뒤 매년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AI 보안기술은 크게 ▲AI를 활용해 해킹을 탐지·예방하는 기술과 ▲AI 시스템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기술로 나뉜다.
'AI 활용 해킹·탐지기술'은 전체 AI 보안기술의 85%를 차지하며 주요 기술로 자리 잡았으나 2019년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며 현재는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반면 'AI를 위한 보안기술'은 최근 5년(2017~2021년) 동안 연평균 68.1%씩 성장하며 새롭게 주목받는 분야로 부상했다.
AI 보안기술의 10대 다출원 기업에는 IBM, 스트롱포스 등 미국 기업 9개가 포함됐다.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6위로 유일하게 10위권에 진입했다. 삼성전자는 구글(7위)을 앞서며 기술 경쟁력을 보여줬다.
한국은 AI 활용 해킹·탐지기술 가운데 사용자 인증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다출원 1위와 6위를 차지하며 이 분야에서 강점을 드러냈다.
특허 출원 주체를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 AI 보안기술 출원의 68%는 기업에서 이뤄졌으며, 대학과 공공기관이 26%를 차지했다. 특허청 관계자는 "한국이 AI 보안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려면 산·학·연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