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가운데 그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적지 않다.
사실 참뜻을 모르고 사용하다 보니 진정한 의미를 느끼기 어렵다.
흔히 말하는 '알아야 면장을 하지'가 바로 그런 것 중의 하나이다.
사전(辭典)적으로 해석하면 어떤 일이든 그 일을 하려면 그것에 관련된 학식이나 실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면장을 동장, 읍장, 시장 등 행정기관장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 속담은 행정기관의 면장(面長)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말이며 공자와 그의 아들 백어와의 대화에서 유래한 것이란다.
공자가 백어에게 이르기를 '너는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배웠느냐. 사람이 되어서 주남과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 바로 담장(牆)을 정면(正面)으로 마주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주남과 소남은 시경(詩經)의 편명인데 모두가 자기 몸을 닦고 집안을 다스리는데 유익한 일상생활의 기본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자는 아들에게 주남과 소남을 모르는 것이 마치 담장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서서 지극히 가까운 곳에 나가지도 못하고 한 물건도 보이는 것이 없고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어떻든 벽을 향해서 서있는 암흑의 세계를 형용하는 말이 바로 장면(牆面)이다.
이런 꼴을 '면(免)한다'는 말이 바로 '면장(免牆)'이다.
무엇인가 부지런히 배우고 익혀야 답답함을 면할 수 있다는 공자의 말씀에 유추하여 바로 '알아야 면장을 하지'란 속담이 나온 것이다.
아주 단순한 이야기다. 너무나 기본적인 상식에 가까운 이야기다.
그렇지만 그 기본의 참뜻을 알지 못하고 이야기 할 때면 오해와 착오를 범할 수도 있다는데서 경고와 같은 이야기가 될 수 있다.
통상 우리가 자주 '알아야 면장을 하지'란 말을 쓰면서도 그 뜻의 진의를 몰랐다가 깊은 뜻이 담겨있음을 알게 되었다.
면장(面長)이 아니라 "알아야 면장(免牆)'을 하지"라는 말은 무슨 일을, 하려면 그에 걸맞은 실력과 견식(見識)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Copyright ⓒ 뉴스비전미디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