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국방부, 방위사업청,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주관으로 국회에서 열린 '한미 방산협력 현주소와 발전방향 포럼'은 한미 방산협력에서 MRO가 가중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포럼은 국내 방산의 현주소를 살피고, 지속 가능한 성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RSF는 미국이 직접 담당해온 군수 정비를 인도-태평양지역 동맹국의 역량을 활용해 효율화하는 정책이다. 정책 실현을 위해 인도-태평양 산업 회복력 파트너십(PIPIR) 협의체를 결성했다. 유럽 14개 국가도 PIPIR 회원국으로 합류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PIPIR 협의체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방산업체와 방위사업청, 국방부가 모두 참여하는 협의체가 있어야 한다"며 "PIPIR 협의체의 요구에 대응하거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서혁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방산정책연구센터장은 MRO 수출사업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RSF가 공급망 안정을 위한 '임시 대응책'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위 정책인 NDIS(방위산업전략서), NDS(국방전력서), NSS(안보전략) 까지 전반적으로 살펴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 센터장은 "미국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국의 핵심 생산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며 "2027년과 2028년에 중요한 생산과 공정은 자국에 두겠다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MRO 역량 자체를 키우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영식 LIG넥스원 MRO사업부장은 방위산업 수출과 관련한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미 간의 공조를 통해 미국 환경 시험평가, 성능 시험 평가를 비롯해 FCT 프로그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해줄 것을 요청했다. 해외 기술이전과 관련해 절충교역의 한계도 지적했다.
정 사업부장은 "정책적인 지원들이 공조되지 않으면 대형사업 수주는 성공할 수 없다"며 "FCT프로그램과 같이 5년 가량 소요되는 프로그램들은 정부가 포함된 군수 협의체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