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스나이더 한미경제연구소장…"韓, 공공연한 '균형외교' 피해야"
"북미정상회담 실현까지 시간 걸릴듯…트럼프, 北에 일방양보 안할 것"
"한미일 협력, 바이든정부 수준 유지 장담 못해…트럼프 행정부 인선에 영향"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년 출범하면 한국의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액(방위비 분담금) 대폭 증액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워싱턴의 한 베테랑 한반도 전문가는 주한미군 주둔비 분담 협상 수준을 넘어서는 더 큰 틀의 한미 '부담 공유' 협상판을 만들 것을 한국에 제언했다.
미국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의 스콧 스나이더 소장은 13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의 이익에 부합하면서 트럼프의 (부자국가 한국이 돈을 내지 않는다는) 내러티브를 바꿀 수 있는 협상 틀을 조직할 방법들이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방위비 분담금으로 불리는 미군 주둔비용 분담 방안만 협상하지 말고, 더 큰 틀의 한미간 안보 부담 공유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가 한미동맹을 흔들 위험을 제어하라는 조언이었다.
스나이더 소장은 또 "당분간 동맹 기반 협력의 대안으로 공공연한 헤징(hedging·양쪽에 투자하는 전술) 책략을 쓰는 것을 피해야 한다"며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의 '균형 외교' 기조로 복귀하는 것은 득책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스나이더 소장과의 일문일답.
--많은 이들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신고립주의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한다. 해외 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개입을 최소화하려는 그의 구상이 한미동맹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나.
▲트럼프 당선인(이하 트럼프)은 해외 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대해 이전보다 높은 기준을 제시하는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트럼프는 여전히 해외 이익을 포함한 미국의 이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당신은 작년 저서 '한미동맹, 왜 그것은 실패할 수 있고, 실패하지 말아야 하나'에서 '미국 우선주의'와 '한국 우선주의'가 만날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다. 그런 충돌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으로 보나.
▲트럼프 개인과 그의 행정부로부터 공히 지지를 얻고, 미 의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동맹에 대한 미국 대중의 강력한 지지를 유지하는 전략이 (한국이) 가야 할 길이다. 한국은 또한 당분간 동맹 기반 협력의 대안으로 공공연한 헤징 책략을 쓰는 것을 피해야 한다.
--트럼프 취임 후 또 한 번의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하는가? 많은 한국인은 트럼프가 북한을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간주하면서 미국 본토에 도달 가능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위협만을 억제하기 위해 북한과 거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미북간 정상 차원의 관여 재개는 만약 실현될 수 있다면 실현되기까지 시간이 일정 정도 걸릴 것이다. 양측 모두 2019년 하노이 '노딜'(합의 불발) 정상회담에서 얻은 나쁜 기억과 교훈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김정은은 이제 푸틴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더 이상 이전만큼 트럼프를 필요로 하지않는다. 미국 측이 하노이회담에서 얻은 주요 교훈은 북한의 최고 의사 결정권자조차도 비핵화 합의를 할 의향이 없다는 것이었기 때문에 트럼프는 북한과 사전에 주고받을 것을 합의하지 않는 한 일방적인 양보를 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이 안보에서 '무임승차'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주한미군 주둔 비용(방위비 분담금)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트럼프의 요구에 한국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으로 보는가.
▲나는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 분담 문제를 크게 초월하는 '부담 공유(burden sharing)' 방안에 대해 트럼프와 협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이익에 부합하면서 트럼프의 내러티브를 바꿀 수 있는 협상 틀을 조직할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고 믿는다.
--트럼프 당선인이 한국에서 미군을 감축하거나 철수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의회가 반대할 것이기 때문에, 트럼프가 주한미군을 감축하거나 철수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
--트럼프가 실제로 주한미군 철수 또는 감축에 나서려 할 경우 한국의 보수진영에서 독자 핵무장론이 본격 제기될 수 있을 것으로 보나?
▲양국 정부가 현재의 핵협의그룹(NCG·한국에 대한 미국 핵우산 제공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협의체)을 새로운 핵 관련 거래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할지는 아직 지켜봐야 한다.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이 강화됐다.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도 유지될 것으로 보는가.
▲트럼프 행정부가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2023년 8월)과 같은 바이든 행정부의 업적을 기초로 삼는 것은 가능하지만 3국 협력이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장담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인선 작업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일정 부분 달려 있을 것이다.
jhcho@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