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3조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계대출 증가세 피크를 찍었던 지난 8월 이후 2개월 연속 둔화세다. 하지만 금융권 전체로 범위를 넓혀보면 가계대출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 추세적 둔화로 판단하긴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36조5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3조9000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4월부터 7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증가 폭은 2021년 7월(9조7천억원)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였던 지난 8월(9조3000억원) 이후 2개월 연속 줄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0조3000억원)이 3조6000억원 증가했다. 주담대 증가 폭 역시 역대 최대였던 지난 8월(8조2000억원) 이후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8조1000억원)은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영향 등으로 3000억원 증가 전환했다.
주담대가 줄어든 것은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계약일 기준)이 7월 2만7000호, 8월 2만2000호에 이어 9월 1만2000호로 뚝 떨어진 영향이다. 전세자금대출 역시 8월 7000억원, 9월 6000억원, 10월 4000억원 증가하며 증가 폭이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10월 중 6조6000억원 증가했다. 9조7000억원 늘었던 8월보다는 증가 폭이 축소됐지만 9월(5조2000억원)보다는 다소 늘어난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다소 확대되긴 했지만 부실채권 매상각, 추석 상여금 등 계절적 요인이 소멸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일시적인 반등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10월 금통위 당시 예상했던 수치"라고 밝혔다.
2금융권 풍선효과와 관련해선 "앞서 체결된 주택거래를 감안하면 자금 조달 필요성이 있는 실수요자들이 대출이 용이한 업권을 찾으면서 대출 수요가 이동하는 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과거처럼 업권간 규제 차이를 바탕으로 투기적 투자수요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가계대출 전망과 관련해선 "정부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 이후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주택거래량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연말까지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여건 강화 기대가 완화하면서 주택가격 상승세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재차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유의해서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