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으로 인한 ‘N수생’ 증가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 수가 늘었지만 감독관은 오히려 감소했다. 교사들의 부담이 예년보다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수능 감독관 수는 작년(7만7133명)보다 줄어든 6만9440명이다. 시험실 감독관 6만813명, 대기실 감독관 2280명, 복도 감독관 6347명 등이다.
반면 올해 수능 지원자는 52만2670명으로 지난해보다 3.6% 늘었다. 교육부는 코로나19 탓에 줄였던 시험실 응시인원 기준을 한 반당 24명에서 28명으로 늘리면서 감독관 수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감독관 1명이 관리해야 할 수험생 수가 늘었지만 시험 감독관(책임자급 제외)의 수당은 17만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이다.
교육계에 따르면 수능 감독관은 응시생들이 시험을 치르는 동안 대부분 서 있어야 하며 쉬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등 업무 강도가 높다. 시험장에는 감독관이 앉을 수 있도록 의자를 두지만 고사장에 따라 없는 곳도 있다. 수능 감독관에 지원하는 중·고등학교 교사가 거의 없어 저연차 순으로 차출되는 분위기다.
작은 실수로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부담도 있다. 백승아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2019∼2024년) 수능 감독관에 대한 국가 상대 소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감독관 실수에 대해 5건의 민사 소송이 제기됐다. 모두 타종(打鐘) 사고였으며 3건은 국가와 감독관이 수험생 측에 각각 최대 700만원씩 지급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시험감독관 보호를 위해 배상책임보험에 가입 중이며 올해부터 보상 및 보장 범위를 건당 최대 1억원에서 2억원으로 확대했다.
익명을 요구한 경기도 소재 A 중학교 교사는 여성경제신문에 "감독관이 겪는 부담감은 꾸준하다. 다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도 하다"며 "A 중학교의 경우 오히려 수능 감독관 지원 교사가 18명이었지만 10명만 선발됐다. 고등학교에서 많이 차출된 것으로 본다"라고 했다.
이어 "올해부터 감독관 명찰에 교사 이름 대신 일련번호가 표기된다고 한다. 감독관 여건과 처우가 점차 개선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여성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