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⑨트럼프 귀환, 서민 경제에 드리운 먹구름

[S리포트] ⑨트럼프 귀환, 서민 경제에 드리운 먹구름

머니S 2024-11-08 14:00:00 신고

3줄요약

무너진 서민 경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재집권했으나 서민 계층의 부담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선 행사에 참석을 한 모습. /사진=웨스트 팜비치 AFP=뉴스1 무너진 서민 경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재집권했으나 서민 계층의 부담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선 행사에 참석을 한 모습. /사진=웨스트 팜비치 AFP=뉴스1
2024년 미국 대선이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귀결됐다.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은 임기 말 화려한 경제지표를 남겼지만 정권 재창출에 실패했다. 서민 경제가 무너진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트럼프 2.0'시대의 경제 정책이 미국과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모인다.

바이든 행정부는 임기 동안 주목할 만한 경제지표를 남겼다. 3.1%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최근 7개월 연속 3%대의 안정된 물가상승률 등 거시경제 지표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취임 당시 대비 60% 이상 상승하는 등 자본시장의 호황도 이어졌다.

눈부신 성과에도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 것은 거시경제 지표와 서민들의 실제 삶이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미국 중위 가구 저축률은 2021년 12.4%에서 2023년 3.4%로 급감했다. 연 소득 6만달러 미만 소득계층의 지출 증가율은 7.9%에 그쳤지만 10만달러 이상 계층은 16.7% 늘어 계층 격차가 심화했다.

중산층과 서민들의 표심이 트럼프에게 향했다. 하지만 서민 계층의 부담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2.0 시대 경제 정책의 양대 축인 '감세'와 '관세'는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여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를 더디게 할 가능성이 높다.

김학균 센터장 "미국 소비 중심 성장 모델, 감세·관세 정책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전문가들은 미국의 소비 중심 성장 모델에서 감세와 관세 정책은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사진은 지난 6일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머니S) 전문가들은 미국의 소비 중심 성장 모델에서 감세와 관세 정책은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사진은 지난 6일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머니S)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신한투자증권 본사에 만난 국내 대표 금융·경제 전문가 이선엽 신한투자증권 이사와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트럼프의 감세와 관세 정책이 미국 서민 경제에 미칠 파장을 우려했다. 이들은 감세와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촉발해 가계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결국 소비 둔화 폭을 키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선엽 이사는 "현재 미국은 서민만 어려운 상황인데 월급에 비해 물가가 너무 높아 구매력이 떨어진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오히려 가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금리가 내려가지 않으면 서민들은 높은 이자 비용을 지게 되고 그만큼 소비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김학균 센터장도 미국의 소비 중심 경제 구조에서 감세와 관세 정책은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서민층에 어려움을 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2023년 기준 미국 GDP 대비 민간 소비 비중은 67%에 달하는 등 미국 경제는 민간 소비 의존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GDP 대비 민간 소비 비중이 67%라는 것은 미국 경제가 소비를 통해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소비 중심 경제 구조에서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면 서민들은 기존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도 서민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불법 이민자들은 미국 내 경제에서 소비자와 생산자로 역할하며 저임금으로 노동력을 공급해 왔다. 이 이사는 "불법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소비와 생산, 일자리도 함께 늘어났는데 이들을 제한하거나 추방할 경우 경제 전반에 불협화음이 일어날 수 있다"며 "물가도 단기적으로 더 오를 수 있다"고 했다.

한국 총수출 최대 448억달러(약 62조원)↓, GDP도 최대 0.67% ↓

트럼프 2.0 시대의 정책이 서민 경제를 포함한 한국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을 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 6일 이선엽 신한투자증권 이사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머니S) 트럼프 2.0 시대의 정책이 서민 경제를 포함한 한국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을 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 6일 이선엽 신한투자증권 이사의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머니S)
트럼프 2.0 시대의 경제 정책이 미국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서민층의 고통을 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 정책은 물가를 끌어올리고 금리 변동성을 키울 수밖에 없어서다. 국제적인 금리인하 추세가 다시 역행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 올해 3분기 GDP가 전기 대비 0.1% 증가하는데 그쳐 기준금리 인하를 통한 내수 부양 필요성이 커졌지만 쉽게 금리를 내리기는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 환율 역시 강달러 추세가 길어지면 금리 인하에 부담이 된다.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소식이 전해진 후 약 7개월 만에 1400원대로 올라섰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수입 물가가 오르고 소비자 구매력은 떨어진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더 떨어져 다시 강달러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를 부과한다는 공약을 내세운 만큼 중국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타격도 불가피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모든 수입품에 보편관세 10~20%를 매기는 등 미국의 '자국 중심주의' 정책이 현실화하면 한국 총수출이 최대 448억달러(약 62조원) 감소하고, GDP가 최대 0.67% 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이사는 " 사실 정책적으로 놓고 보면 트럼프의 당선은 한국 입장에서 사실 좋은 점보다는 아쉬운 점들이 많다"며 "다만 트럼프가 내세운 정책들이 협상용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