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는 임기 동안 주목할 만한 경제지표를 남겼다. 3.1%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최근 7개월 연속 3%대의 안정된 물가상승률 등 거시경제 지표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취임 당시 대비 60% 이상 상승하는 등 자본시장의 호황도 이어졌다.
눈부신 성과에도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 것은 거시경제 지표와 서민들의 실제 삶이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미국 중위 가구 저축률은 2021년 12.4%에서 2023년 3.4%로 급감했다. 연 소득 6만달러 미만 소득계층의 지출 증가율은 7.9%에 그쳤지만 10만달러 이상 계층은 16.7% 늘어 계층 격차가 심화했다.
중산층과 서민들의 표심이 트럼프에게 향했다. 하지만 서민 계층의 부담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2.0 시대 경제 정책의 양대 축인 '감세'와 '관세'는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여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를 더디게 할 가능성이 높다.
━
김학균 센터장 "미국 소비 중심 성장 모델, 감세·관세 정책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
이선엽 이사는 "현재 미국은 서민만 어려운 상황인데 월급에 비해 물가가 너무 높아 구매력이 떨어진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오히려 가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금리가 내려가지 않으면 서민들은 높은 이자 비용을 지게 되고 그만큼 소비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김학균 센터장도 미국의 소비 중심 경제 구조에서 감세와 관세 정책은 실질 구매력 약화로 이어져 서민층에 어려움을 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2023년 기준 미국 GDP 대비 민간 소비 비중은 67%에 달하는 등 미국 경제는 민간 소비 의존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GDP 대비 민간 소비 비중이 67%라는 것은 미국 경제가 소비를 통해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소비 중심 경제 구조에서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면 서민들은 기존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도 서민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불법 이민자들은 미국 내 경제에서 소비자와 생산자로 역할하며 저임금으로 노동력을 공급해 왔다. 이 이사는 "불법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소비와 생산, 일자리도 함께 늘어났는데 이들을 제한하거나 추방할 경우 경제 전반에 불협화음이 일어날 수 있다"며 "물가도 단기적으로 더 오를 수 있다"고 했다.
━
한국 총수출 최대 448억달러(약 62조원)↓, GDP도 최대 0.67% ↓
━
한국은 올해 3분기 GDP가 전기 대비 0.1% 증가하는데 그쳐 기준금리 인하를 통한 내수 부양 필요성이 커졌지만 쉽게 금리를 내리기는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 환율 역시 강달러 추세가 길어지면 금리 인하에 부담이 된다.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소식이 전해진 후 약 7개월 만에 1400원대로 올라섰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수입 물가가 오르고 소비자 구매력은 떨어진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더 떨어져 다시 강달러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를 부과한다는 공약을 내세운 만큼 중국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타격도 불가피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모든 수입품에 보편관세 10~20%를 매기는 등 미국의 '자국 중심주의' 정책이 현실화하면 한국 총수출이 최대 448억달러(약 62조원) 감소하고, GDP가 최대 0.67% 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이사는 " 사실 정책적으로 놓고 보면 트럼프의 당선은 한국 입장에서 사실 좋은 점보다는 아쉬운 점들이 많다"며 "다만 트럼프가 내세운 정책들이 협상용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