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경제TV 현정인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공화당 후보)이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가운데, 국내 바이오 업계에선 '양극화'가 더 심해질 거라는 전망이 등장했다.
미국 정책 방향 자체가 '생물보안법'으로 인해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국내 일부 기업이 수혜를 받을 수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우선주의를 강조하고 있어 대부분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KIET 산업연구원의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정책은 ▲약가 인하 ▲자국 내 필수의약품 생산 ▲공적부조·사회보험 개혁해 저소득층 의료 복지 정책 축소 등이다. 이는 바이든 정부가 수립한 헬스케어 정책(▲보험료 인하 ▲세액공제 확대 ▲공적 의료보험제도 범위 및 보상 확대)과 확연히 다른 방향이다.
업계는 약가 인하와 자국 내 필수의약품 생산에 주목했다. 트럼프의 약가 인하 정책은 정부의 직접 통제가 아닌 국제 가격 비교로 제약사가 자발적인 가격 조정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약가 인하 정책을 수행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제네릭 시장이 활발해지는데, 트럼프 정책 자체가 경쟁을 통해 약가 인하를 추진하는 만큼 회사들간의 경쟁이 과해질 수 있어서다.
그러나 바이오 시밀러 부문은 수혜 가능성이 제기됐다. 장민환 IM증권 연구원에 의하면 미국에서 약가를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이오 시밀러 도입이다. 미국이 생물보안법으로 중국을 견제하고 있고 한국 기업들이 바이오 시밀러 사업을 많이 하고 있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자국 내 필수의약품 생산은 관세를 조정하고 무역 제한을 통해 시행할 예정이다. 트럼프 정부는 국가가 산업을 보호하며 무역을 통제하는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띄고 있다. 따라서 일각에선 필수의약품 외에 다른 부문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의료기기나 신약 개발 벤처들은 일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가 보편적 관세를 추가한다는 기조를 갖고 있어 국내 의료기기 업체는 수출 시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바이오 업계의 예상도 시장과 같은 양극화로 쏠리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 시절 바이오에 버블이 발생해 임금이 많이 올랐지만 지금은 제자리로 돌아가는 추세"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위주로 정책을 펼치고 있어 한국 바이오 기업은 갈 곳이 줄어들었고, 결국 기술이 특화된 곳만 살아 남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임팩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