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위기로 현실화된 상황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수반되지 않으면 경제적 타격이 심각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심각한 기후변화 속에서 모든 산업의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면 그 결과는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으로 전가되고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가 야기하는 사회적 비용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거다.
한국은행 4일 기상청, 금융감독원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우선 연구팀은 기후 리스크로 인한 충격 없이 인구 성장 추세가 반영된 채 경제가 정상 성장하는 경우를 ‘기준 시나리오’로 설정했다. 또 우리나라가 2050년까지 기온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는 ‘1.5도 대응’과 2도 이내로 조절하는 ‘2도 대응’, 2도 이내로 조절하되 2030년부터 기후 대응에 나서는 ‘지연 대응’, 관리하지 않는 ‘무대응’ 등 4가지 시나리오를 토대로 기후변화 리스크가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했다.
그 결과 1.5도 대응 시나리오에서 생산자물가는 탄소가격 상승으로 인해 2050년경 기준 시나리오 대비 6.6%까지 상승하나 이후 온실가스 감축기술 발전에 따른 탄소비용 부담 완화로 2100년경에는 1.9% 상승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2도 대응 시나리오에서 생산자물가는 2050년경 기준 시나리오 대비 2%까지 상승한 이후 점차 완화돼 2100년경에는 0.2%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연대응 시나리오에서 생산자물가는 2050년을 전후로 기준 시나리오 대비 7.9%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는 2도 상승 억제 목표 달성을 위한 급격한 탄소가격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치솟을 것이란 평가가 반영된 것이다. 다만 2100년에 가까워질수록 친환경 기술발전으로 물가 상승압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조사기간 중 평균 상승률 측면에서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1.5도 대응과 무대응 시나리오 모두 기준시나리오 대비 연평균 0.02%포인트 확대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1.5도 대응은 2100년에 다다를수록 상승률이 안정세를 보인 반면 무대응 시에는 상승률이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 초기에는 정책 비용을 수반하지만 이후 기술발전, 기후피해 축소 등을 유도해 우리 경제의 회복력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조기에 강화하는 것이 우리 경제에 장기적으로 유리한 전략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자연재해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무대응 시 태풍 피해액은 2100년에 9조 7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시나리오(7조 원)보다 38% 가량 큰 수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Copyright ⓒ 금강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