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4일 오전 8시40분부터 KT 사내방송 KBN을 통해 임직원들과 1시간 이상 대담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달 17일 ‘인력구조 혁신 방안’을 공개한 이후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가 계속되자 직접 직원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KT는 네트워크 인프라 관리 인력을 신설 자회사로 이동시키고, 이를 원치 않는 직원들에게는 특별 희망퇴직을 제공하는 내용의 인력구조 개편을 진행 중이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AICT 기업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심각한 국면에 빠질 수 있다”며 이번 인력 구조 개편에 대한 구성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특히 현장 인력의 고령화 및 고임금 체계에 대해 김 대표는 “전체 현장 인력 1만3000명 중 70% 이상인 9200명이 50대 이상으로, 임금체계에 있어 시장과 KT 간 현격한 격차가 있어 신입사원을 채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으로 통신망의 안정성을 강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짚었다.
이어 김 대표는 “KT 전체가 AI 역량을 갖추는 혁신을 해야 하고, B2B(기업 간 거래) IT 사업 영역에서는 어느 통신사보다 빠른 속도로 진화해야 한다”면서 “역량 및 사업 구조의 조정을 뒷받침하는 조직과 인력 구조의 혁신이 늘상 합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구조의 혁신은 경영자의 책무로 반드시 해야 한다”면서도 강제퇴직은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신설 자회사를 통해 계속 같이 일하자는 제안이 최우선이며 정년 때까지 잔여기간에 받을 수 있는 전체 경제적인 효익에 손해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근 일부 임원이 전출 대상자들에게 “자회사로 가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모멸감과 자괴감이 들 것”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김 대표는 “최고경영자(CEO)로서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한편 이날 마감된 신설 자회사 전출자 모집에는 약 1500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회사의 사업환경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한 현장 직원들이 본사 잔류를 선택하면서 신청이 다소 저조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전출이나 희망퇴직을 택하지 않은 경우 KT에 남아 공백 상권의 영업력 강화를 위한 전문 인력으로 재배치된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