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후변화에 대응 못 하면 경제 성장률과 물가에 악영향

한국은행, 기후변화에 대응 못 하면 경제 성장률과 물가에 악영향

뉴스로드 2024-11-04 15:34:12 신고

3줄요약
기후변화로 누렇게 말라버린 양파밭(전남 무안군 무안읍, 2024.5.21) [사진=연합뉴스]
기후변화로 누렇게 말라버린 양파밭(전남 무안군 무안읍, 2024.5.21) [사진=연합뉴스]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우리나라 성장률이 앞으로 연평균 0.3%포인트씩 낮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은행·금융감독원·기상청은 4일 '기후변화 리스크(위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가격 상승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산업의 생산비용 증가, 국내외 온도 상승·강수 증가 피해, 태풍 등 자연재해 빈도·규모 확대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한국을 비롯해 세계가 별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시행하지 않으면 오는 2100년께 국내총생산(GDP)은 기준 시나리오(국내 인구성장 추세 바탕 추정 성장 경로)보다 21%나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금년부터 210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매년 0.3%포인트씩 깎이는 셈이다.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산업화 이전 대비)을 '1.5℃ 이내'로 억제하도록 한국 등 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 GDP 감소율과 연평균 성장률 하락 폭이 각 10.2%, 0.14%포인트로 축소됐다.

온도 상승 폭 목표가 2℃로 커지면, GDP는 해마다 평균 0.21%포인트 낮아져 2100년 15% 줄었다.

기후변화는 물가도 끌어올릴 것으로 우려됐다. 기후위험에 대응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2100년에 가까워질수록 우리나라 생산자물가는 기준 시나리오보다 1.8% 더 높아졌다.

다만 '1.5℃ 이내' 시나리오 분석에서 2100년 생산자물가 추가 상승률은 1.9%로 오히려 '무대응' 경우보다 높았다. 

탄소가격 정책 도입 등으로 기업의 생산 비용이 늘어(전환 리스크) 2050년까지 집중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연구팀 과장은 "탄소가격 정책에 따른 전환 리스크의 영향은 2050년 전후 확대됐다가 이후 점차 축소되지만, 기후 피해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는 정책 대응이 없거나 늦은 경우 2100년에 이르면서 급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조기 강화하는 게 우리나라 경제에 장기적으로 유리한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Copyright ⓒ 뉴스로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