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반려동물 중에서 개를 많이 키우다보니 물림사고로 인해 광견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을 뿐 최근에는 고양이를 비롯해 너구리, 박쥐, 원숭이 등 모든 포유류로부터 감염된 사례가 꾸준히 들려오고 있다.
특히 쥐, 토끼, 햄스터 등 설치류로부터는 광견병에 감염되지 않는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햄스터에 물린 한 여성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포유류를 키우는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7월 베트남에서 3세 소년이 반려묘에게 손을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아이는 수일 동안 구토 등 광견병 증세를 보이다가 한 달 만에 사망했다. 사망 전 아이는 비명을 지르고 물이나 음식을 못 삼키고 침을 흘리는 등 증상이 악화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 스페인에서 38세 여성이 애완용 햄스터에게 물린 후 응급실을 찾았지만 끝내 사망했다. 이례적인 상황에 영국 햄스터협회 측은 "20년 동안 햄스터를 키워 왔지만 그런 상황은 처음"이라면서 "햄스터는 보통 인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을 옮기지 않는다. 사람의 면역 체계가 심각하게 약화된 경우에만 이러한 극단적인 결과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박쥐로 인한 광견병 감염 사례가 매년 1~3건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9년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인간 광견병 사례 10건 중 7건이 박쥐 때문이었다.
2018년에는 6살 소년이 박쥐에 물린 뒤 병원에 가지 않아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고, 2021년 미국 일리노이주에서는 박쥐에 목을 물린 80대 남성 B씨가 광견병에 전염됐다가 한 달 만에 숨졌다. B씨의 집에서 박쥐 군락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동물에 의해 감염되기도 하지만, 감염된 박쥐가 서식하는 동굴 내에서 공기를 통한 감염, 타액이 점막, 상처에 묻어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각막, 간 등 이식을 통해 감염된 사례도 있다.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20~90일로, 환자가 물린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얼굴을 물리는 것보다 발끝에 물리면 증상이 더 늦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될수록 불안감, 공수증(물 등의 액체를 삼키게 되면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고 심한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생기는 물을 두려워하는 증상), 바람에 대한 두려움(감각 기관이 바람에 과민하게 반응하기 때문) 등 신경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후에는 2~7일 뒤에 전신 신경, 근육이 마비를 일으켜 혼수상태에 빠지고 호흡 장애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광견병의 치사율은 100%에 달한다.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 치료를 안 하면 평균 7일, 치료를 해도 평균 25일 이내에 모든 환자가 사망한다.
이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광견병 유행 지역을 여행할 때는 동물과의 접촉에 주의하고, 만약 접촉이 예상된다면 미리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집에서 키우는 개, 고양이는 광견병 백신을 접종하도록 한다.
만약 동물에게 물렸다면 즉시 비누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상처를 씻거나 소독제를 사용해 상처 부위를 소독하는 등 응급 처치를 한 후 병원을 방문해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한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