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광양항 한국형 스마트항만의 미래상./여수광양항만공사 제공 |
YGPA는 지난해 11월 기초자료조사 결과를 반영한 기획재정부와의 총사업비 최초협의를 완료하고 그해 12월부터 단계별로 자동하역장비를 발주했다.
올해 트랜스퍼크레인(32기), 무인이송장비(44대) 착수를 완료했으나 선박에서 컨테이너화물을 양·적하하는 자동화항만 핵심장비인 컨테이너크레인(8기)의 경우, 국산화에 따른 재료비 및 노무비 상승으로 유찰이 계속돼 사업진행에 차질을 빚어왔다.
이에 YGPA는 해양수산부와 협업하여 중국 하역장비 저가도입 등에 따라 침체돼 있는 국내 항만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국산하역장비 도입을 위해, 올해 7월부터 기획재정부와의 총사업비 재협의를 진행한 결과 긴축재정 기조 속에서도 컨테이너크레인 국산화를 위한 458억원의 추가 사업비를 확보했다.
사업기간도 국산 하역장비 납기일 및 운영여건을 고려해 당초 단계별 개장(1차 2027년, 2차 2029)에서 충분한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29년 4개 선석을 동시 개장해 한국형 완전 자동화항만으로서의 완성도를 보다 높이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YGPA 박성현 사장은 "어렵게 확보된 국비를 보다 의미 있게 사용해 국산기술 중심의 자동하역장비 도입을 통한 항만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지속가능한 미래 스마트항만으로서 귀감이 될 수 있도록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이창식 기자 mediacnc@
Copyright ⓒ 중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