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29일 오전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 위치한 '통합관제센터'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센터 내에서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 기능을 선보였다. 지난 3월부터 가동된 통합관제센터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전국 네트워크와 외부 서비스의 품질을 24시간 지켜본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상무)는 "통신 품질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네트워크 안정성과 신뢰성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 통합관제센터를 설립했고,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로봇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고 점점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운을 뗐다.
통합관제센터 상황실에는 649인치 규모의 스크린(월보드)가 갖춰져 있다. 월보드를 통해 5분 단위로 에러(error) 발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재해나 기상악화 시 통신 장비, 기지국들이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해 기상청 예보를 통해 기상 상황을 계속 지켜볼 수 있다. 외부 제휴 서비스 품질 등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모바일 서비스 현황, 기업 서비스 현황 등도 계속 지켜볼 수 있다.
통합관제센터는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활용해 운영 중이다. 또한 화상통화시스템을 통해 전국 운영조직과 논의하고 대응한다. 이종인 LG유플러스 네트워크 관제 팀장은 "장애 대응 과정에서 반복적이며 정형화된 업무에 대해 로봇을 활용해, 정확하고 신속한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큰 이벤트나 네트워크 과부화에 대한 대응을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뽑아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례로 태풍·지진 발생 시 수십만 장치에서 오는 알림을 파악하거나 집계하는 데 로봇을 활용한다.
통합관제센터는 장애 처리 시간 단축에 기여했다. 정홍화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 통합관제기획팀장은 "관제센터를 구축했다 해서 특별히 장애 건수가 줄어들진 않지만,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아내고 처리하는 시간 자체가 빨라졌다"며 "문제 발생 인지 후 15분 내로 유관 부서로 넘어가고 신속히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 상무는 "네트워크가 진화하면서 복잡해지고 고객 눈높이도 올라가고 있다"면서 "이를 충족하기 위해 설립된 통합관제센터는 품질 관리를 넘어 고객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의 거점이기에 더욱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뉴스웨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