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DPA 통신에 따르면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은 이날 발간한 보고서 ‘푸틴의 파트너’에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뒤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무기 규모는 17억~55억 달러(약 2조4000억~7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보고서는 각종 정보 보고서와 유출된 문서, 북한의 이전 무기 거래에서의 탄약 가격 등을 토대로 추정치를 집계했다. DPA는 북한은 무기 수출에 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추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한국의 정보기관에 따르면 북한은 주로 포탄과 단거리 미사일을 러시아군에 지원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러시아에 파견될 수 있는 북한의 병력을 최대 2만 명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보수적인 계산에 따르더라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5000~2만 명의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잠재적으로 1억4300만~5억7200만 달러(약 1979억~7917억원)의 추가 연 수입을 축적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금전적인 이익을 제외하고도, (북한) 정권은 현대전을 연구하기 위한 실제 전투 경험을 얻는 것과 서방의 무기에 대한 접근을 확보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관심을 두고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 군 당국은 현재까지 북한이 나진항을 통해 러시아로 반출한 컨테이너는 약 2만 개 이상으로 추정됐다. 컨테이너 적재량을 152㎜ 단일 탄종으로 가정할 경우 약 940여만 발이 될 것으로 국방부 국방정보본부는 추산했다. 정보본부는 “러시아가 북한 미사일을 전장에서 사용하고 있어 한미가 공동으로 지속 추적 중”이라며 “양국 호환이 가능한 122㎜ 방사포탄 등 다종의 포탄, T 계열 전차 포탄, 휴대용 대공미사일, 대전차 미사일 등도 지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힌바 있다.
특히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강화하면서 양국 사이의 공식 무역량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양국의 거래량은 5290만 달러(약 732억원)로, 지난해 전체 거래량(3440만 달러, 약 476억원)을 이미 크게 상회했다. 이러한 추세는 양국의 연간 무역량이 2017년 유엔 제재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양국의 외교도 활성화하면서 지난해 7월 이후 한 달에 평균 2회꼴로 양국의 공식 고위급 회의가 열린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만 보면 이런 회의는 20여 회 개최됐다. 반면 그 이전 30년 동안에는 연간 5회 개최가 보통 관례였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