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고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이상 사례 보고 건수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436건, 2020년 660건, 2021년 1189건, 2022년 1603건, 2023년 1626건 등으로 2023년에는 2019년과 견줘서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주요 이상 사례를 보면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주사 부위 통증, 주사 부위 출혈, 주사 부위 타박상 등), 감염 및 기생충 감염(바이러스 감염, 비인두염, 인플루엔자, COVID-19 등),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두드러기, 발진, 가려움증, 홍반 등), 각종 신경계 장애(두통, 어지러움, 졸림, 감각 저하) 등이었다.
부작용 건수가 증가하는 건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는 표본 자체가 늘어난 탓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소아(2~12세) 성장 약품 처방 건수는 2022년 19만1건에서 2023년 24만7541건으로 늘었고, 2024년 6월 기준 12만4997건에 달했다.
키 키는 주사 제품으로 알려진 유트로핀(LG화학), 그로트로핀투(동아에스티) 등은 성소숙증 등 질병을 겪는 경우에만 건강보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의료계에서는 또래 중 유난히 키가 작거나 1년에 4cm 미만으로 더딘 성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시행한다. 치료가 시작되면 매일 성장 호르몬 주사를 맞으며 2년 이상 지속적인 투여를 권하는데, 비급여 주사의 회당 비용은 약 20만원이다.
지난 4일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성장호르몬제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31%이며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4445억원이다. 이는 저출생 여파로 소아청소년과 환자가 감소하자 성장호르몬 치료를 주력으로 삼은 병원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성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쓰는 치료제라며,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아이에게 투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이와 관련 식약처는 성장호르몬 제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정보를 담은 안내문을 제작해 배포하고 오남용 예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의료기관·약국 등의 성장호르몬 제제 과대광고를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터널증후군이나 성장호르몬 결핍 및 저산장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성장호르몬 제제를 정상인에게 장기간 과량 투여하면 말단비대증, 부종, 관절통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 제제가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알려져 불필요한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키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규칙적이게 매일 밤 8시간 이상 질 좋은 수면을 취해야 한다.
또 아이의 성장에 식습관도 매우 중요하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료수, 과자에는 액상과당은 소화과정 없이 바로 흡수돼 지방으로 쉽게 축적된다. 성장기 비만은 '성소숙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한다. 아침식사는 반드시 하는것이 좋으며 고등어 등 등푸른 생선을 일주일에 2~3토막 먹으면 단백질 공급과 아이 두뇌발달에 도움이 된다. 또 단백질과 칼슘이 많은 우유를 하루 1컵 정도 꾸준히 마시게 하는 것도 좋다.
키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신체 활동과 규칙적인 운동도 반드시 필요하다. 줄넘기, 달리기, 농구와 같이 점프 동작이 많은 유산소 운동을 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근육과 인대 움직임에 따라 성장판에 유입되는 혈류 흐름이 촉진돼 성장에 도움이 된다. 아침저녁으로 꾸준하게 해야 근육이 고루 발달하고 키 크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라면 운동 중 자칫 부상으로 성장판이나 근골격계를 다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