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김 대표는 포괄임금제로 인한 정보기술(IT) 업계의 장시간 노동 문제를 이유로 증인으로 채택돼 출석했다. 다소 긴장된 표정으로 손가락을 매만지고, 연신 물을 마시던 김 대표는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주 52시간 근로제로 경영에 어려움이 있지는 않는가”라고 묻자 “게임 산업 내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중국의 제작 역량이 한국을 앞지르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며 “크래프톤도 이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차분한 목소리로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율적 근무환경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법과 제도 하에서 자율적 근무환경을 마련했고, 크리에이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근무 제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 의원은 “국감장에 있는 사람들 중 주 52시간만 근무한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고용노동부 뿐만 아니라 환노위도 못지키는 주 52시간제를 기업에만 지키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역설했다.
또 그는 “경직된 근로제 보다 업종별로 구분을 둬도 된다고 생각한다”며 “창의성을 펼쳐야 하는 사무직종은 너무 일률적으로 적용하지 말고, 자율적으로 할 분위기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근로제의 큰 방향은 탄력성과 함께 건강권을 보호하자는 취지이기 때문에 국회 등에서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근로기준법이 70년 됐지만 제도를 유지하는게 충분한 지를 수면 위로 올려 많은 논의를 해야할 때가 아닌가, 늦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