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훈 왓챠 대표는 25일 산자위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LG유플러스 U+TV모아 API 로그 화면을 통해 LG유플러스의 서비스가 왓챠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한 흔적을 발견했으며 이는 데이터 탈취의 증거"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2018년 1월부터 왓챠와 '왓챠피디아(콘텐츠추천·평가서비스)의 데이터를 공급받는 DB(데이터베이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은 별점 정보, 코멘트 정보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U+모바일 TV 및IP TV 서비스에만 한정하여 사용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계약상의 사용 범위를 위반해 데이터를 부정 사용하여 신규 서비스인 U+tv 모아에 활용하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산자위 소속 송재봉 의원(더불어민주당·충북 청주시청원구)은 "대기업의 기술 탈취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투자를 미끼로 실사한 후에 유사 제품을 내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며 "왓챠 역시 LG유플러스의 투자가 결렬되고 LG유플러스가 U+tv모아를 냈는데 이것이 왓챠의 서비스를 베꼈다는 증거가 무엇인가"라고 질의했다.
박태훈 대표는 "U+tv모아 개발자 모드에서 API 로그 화면을 확인하면 왓챠의 데이터를 사용한 증거가 발견됐다"며 "LG측은 처음에는 왓챠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다가 API 로그 화면을 제시하니 베타 서비스에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말을 바꿨고 이후에는 서버에 왓챠 데이터가 있지만 사용은 하지 않았다고 하는 등 해당 사실에 대해 일관적인 답변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왓챠는 데이터 침해뿐 아니라 기술 탈취 의혹에 대해서도 답변했다. LG유플러스는 2022년 인수 목적으로 접근하여 10개월간 상세한 기술 자료를 요구했고 투자 의사를 돌연 일방적으로 번복하고 왓챠피디아와 유사한 U+tv모아 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박태훈 대표는 "투자 파기 이후 바로 유사 서비스인 U+tv모아를 출시한 점에서 이는 기술 탈취의 결과물이라고 판단한다"며 "LG유플러스의 투자 실사 과정에서 일반적인 수준을 넘어선 핵심 기술 정보를 요구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술이나 데이터 침해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개발자들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능정의서나 기능운영전략서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며 "특허청 신고를 통해 이 부분이 밝혀지길 바란다"고 했다.
박 대표는 "14년간 100곳 이상의 투자자와 협의를 진행하였지만 이번처럼 과도한 수준의 정보 요구는 처음"이라며 "대기업이 중소기업, 스타트업과의 투자 협의를 빌미로 기술을 탈취하는 관행이 근절되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앞서 왓챠는 지난달 LG유플러스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부경법) 위반 혐의로 특허청에 신고했다. 부경법은 아이디어와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해 2018년에는 법 제2조 제1호 내 차목 '아이디어 부정사용행위'를 신설하고 이어 2022년 제2조 제1호 내 카목 '데이터 침해 행위'를 신설하여 중소·벤처 기업의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