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은 0.1%로 집계됐다.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4% 감소했고, 건설투자도 건물·토목 건설 부진에 2.8% 줄었다. 수입은 기계·장비 등을 위주로 1.5% 증가했고, 민간소비도 승용차·통신기기 등 재화와 의료·운수 등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늘면서 0.5% 늘었다.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 중심으로 6.9%나 뛰어올랐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늘었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내수의 성장 기여도가 0.9%포인트로 나왔고 정부와 한은이 예상했던 흐름에 부합했지만, 순수출의 기여도가 -0.8%포인트가 나오면서 결국 0.1%로 제약된 성장을 보였다”면서 “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0.5%포인트를 기록했고 민간이 -0.4%포인트를 기여했는데, 민간 기업 약화의 가장 큰 요인은 건설투자 쪽이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월간 지표상 양호한 흐름을 이어왔던 수출이 전기비 감소 전환한 것은 자동차 파업, 휴가철 등 7~8월의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최근 10년간 평균 분기별 전년동기대비 총수출 증가율이 3.2%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3분기 6.5%도 높은 수준인 만큼 전반적인 수출 흐름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내수는 회복 속도가 더디지만 정부가 당초 예측했던 방향대로 흘러갔다고 평가했다. 이 과장은 “고금리·고물가 기조가 완화되고 기업의 수출 실적이 개선돼 가계 소득으로 전이되면서 민간소비와 설비주자에서는 회복세가 있을 것으로 봤다”면서 “다만 건설투자는 고금리 영향으로 부동산 PF 중심 수주가 부진했던 게 4~6분기 시차를 두고 영향이 나타나고 있어 내수 개선 흐름을 제약했다”고 말했다.
4분기 경기 전망에는 상·하방요인이 혼재한다. 우선 수출의 경우 일시적 요인이 해소되면서 개선되는 흐름이 나오겠지만, △미국의 지정학적 여건 변화 △중국 중심 주요국 경기 불확실성 △IT 업황 싸이클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은 3분기보다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7월 기준 크게 증가한 실질임금 지표를 토대로 물가와 금리가 완화되는 와중에 가계 소득여건이 개선된다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에서도 회복세는 지속될 거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올해 1분기(1.3%) 깜짝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로 2분기(-0.2%)에는 역성장한 뒤 3분기에 다시 성장 흐름을 되찾았으나 당초 예상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이에 2.6%로 제시됐던 정부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도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은은 지난 8월 예상한 올해 경제성장률 2.4%를 오는 11월 경제전망에서 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과장은 “한은이 2.4%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4분기 1.2% 성장률이 나와야 한다고 했고, 우리는 0.2%포인트 더 높으니 1.2%보다 상당 폭 높은 성장을 해야 한다고 파악하고 있다”며 “4분기 불확실성이 있어 변동성이 커져 있기 때문에 경기 효과를 지켜보고 적절한 시기에 수정전망 여부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