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23일(현지시간)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관련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북한군 파병 관련 신중한 입장을 취하던 미국과 나토가 이를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로이터> 통신, <워싱턴포스트>(WP)를 보면 이날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기자들에게 "러시아에 북한(DPRK) 병력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일 그들이 공동 교전국이라면, 그들이 러시아 편에서 이 전쟁(우크라이나전)에 참여하려는 의도라면 이는 매우,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이는 유럽 뿐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오스틴 장관은 북한군 배치 목적에 대해선 "그들이 정확히 뭘 하고 있을까? 알아봐야 할 일로 남아 있다. 이는 우리가 답을 찾아야 할 일"이라며 명확히 하지 않았다. 그는 예상되는 파병 규모나 이미 도착한 병력 규모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
오스틴 장관은 북한군 파병이 러시아군의 인력 문제를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라고 주장했다. 오스틴 장관은 북한군 배치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각보다 더 큰 어려움에 처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푸틴 대통령은) 앞서 추가 무기와 물자를 얻기 위해 북한과 이란에 구걸했다. 만일 이 (북한군) 병력이 우크라이나 전투에 참여하도록 설계됐다면 이제 그는 인력을 더 얻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견을 기정사실화하고 철수를 촉구해 왔지만 미국은 전날까지 "자체 평가" 필요성을 언급하며 파병 관련 확인을 꺼렸다.
<AFP> 통신에 따르면 23일 파라 다클랄라 나토 대변인도 성명을 통해 "동맹국들이 북한 병력의 러시아 배치 증거를 확인했다. 만일 이 병력이 우크라이나에서 싸울 예정이라면 러시아의 불법 전쟁에 대한 북한의 지원과 관련한 중대한 긴장고조"라며 이는 "러시아가 전선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는 또 다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앞서 한국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현재까지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군 규모를 3000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이동한 것으로 파악된 1500명에 이은 추가 이동이 있었다고 분석한 것이다. 국정원은 예정된 전체 파병 규모는 1만 명 가량으로 전망했다.
전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군 규모가 1만2000명에 달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