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아주경제신문과 만난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HMM 민영화 필요성’을 묻는 기자에게 “HMM 민영화는 오래 끌수록 수렁에 빠지는 사안”이라며 “다시 불황기가 본격화되면 민영화 시기가 최소한 수년은 지체될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제값도 받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전 장관은 2017년 문재인 정부 첫 해수부 장관으로 취임해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총괄한 인물이다.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장기 불황에 빠진 한국 해운업을 부활시키기 위해 해양업계 숙원이었던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을 주도하는 등 해양수산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김 전 장관은 “2017년 민간 해운기업 경영 악화로 무역국가인 대한민국 원양해운산업이 일거에 몰락하게 되며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결과 탄생한 것이 국영기업으로서 HMM”이라며 “출발 당시 정부는 HMM 경영이 정상화되면 민영화한다는 방침이었는데 이미 HMM은 수년째 흑자 경영을 지속하고 있으므로 민영화는 당면 과제인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해운시장 불황을 버티지 못한 HMM(구 현대상선)은 현대그룹에서 분리된 후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로 이뤄진 채권단에서 정책자금 지원을 받았다. 2017년 한진해운이 파산하며 국내 1위 해운회사 자리를 차지했으며 국내 유일의 원양 컨테이너 선사가 됐다.
지난해 민영화 작업이 본격화되며 인수 적격 후보자인 하림이 6조원대 매각가를 적어냈으나 적정가에 미달한다는 논란 끝에 최종 인수에 실패했다.
김 전 장관은 HMM 민영화는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HMM 민영화가 지연되면 최악에는 대우조선과 같이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기강 해이, 인재 유출, 해운동맹 관리 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한 차례 더 공개입찰 과정을 거치는 것은 필수고, 그래도 안 되면 수의계약 형태까지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MM 새 주인 찾기에 소극적인 정부 태도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 전 장관은 “정부로서는 HMM 인수기업에 대한 자격 요건을 충분한 자금 동원력, 모기업과 시너지효과, 장기적 경영 가능성 등을 고려하는 것 같다. 물론 올바른 기준”이라면서도 “하지만 인수 후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민영화 추진력은 별개 문제다. 해양수산부 수뇌부가 의지를 가지고 힘 있게 추진해야 성사될 수 있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전 장관은 HMM 인수 기업에 대해서는 신중한 의견을 표했다. 그는 “HMM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로서도 민영화가 시급하다고 해서 국민 혈세로 막대한 지원이 이루어진 HMM을 잘 경영할 기업을 선별하는 일은 소홀히 할 수 없는 과업일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장관은 또 지금의 해운시장 호황에 안심해선 안 된다고도 했다. 그는 “2017년부터 시작된 해운재건계획으로 우리나라 해운산업에 숨통은 트였지만 여전히 선박금융의 취약성, 선주사업의 약세 등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며 “일본, 중국, 유럽에 비해 해운 생태계가 취약한 만큼 정부와 해양진흥공사가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가일층 분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