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9세 한국 남성, 2명 중 1명은 아직 '이 경험' 없다? 50% 이상 경험하지 않은 그것은?

25∼49세 한국 남성, 2명 중 1명은 아직 '이 경험' 없다? 50% 이상 경험하지 않은 그것은?

캐플경제 2023-07-14 08:00:00 신고

3줄요약
11일 서울 마포구 웨딩타운 드레스 샵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통계청이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조사한 '저출산과 우리사회의 변화'에 따르면 25~49세 남성 중 절반, 여성 3명 중 1명은 결혼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건수 역시 지난해 19만 2000건으로 1970년 29만 5000건보다 10만 3000건 감소했다. 혼인이 줄면서 출생아 수는 2012년 48만 5000명에서 2022년 24만 9000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11일 서울 마포구 웨딩타운 드레스 샵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통계청이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조사한 '저출산과 우리사회의 변화'에 따르면 25~49세 남성 중 절반, 여성 3명 중 1명은 결혼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건수 역시 지난해 19만 2000건으로 1970년 29만 5000건보다 10만 3000건 감소했다. 혼인이 줄면서 출생아 수는 2012년 48만 5000명에서 2022년 24만 9000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통계청, 분석…여성 경제활동 늘었지만 가사 부담은 여전


25∼49세 남성 중 절반 정도는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3명 중 1명은 미혼이었다.

통계청이 '인구의 날'인 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 2천 건으로, 1970년(29만 5천 건)보다 10만 3천 건 감소했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 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다. 남녀 간 평균 초혼 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보다 소폭 줄었다.

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 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 2020년 47.1%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 2015년 27.1%, 2020년 32.9%로 계속 늘었다.

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 5천 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 출산율도 2012년 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다.

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다. 추가 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다.

법적 혼인 상태가 아닌 혼외자 출생은 2021년 7천700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했다.

 

사진 = 통계청
사진 = 통계청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지속 ↑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다.

고용률도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60.0%까지 올랐다.

경력 단절 여성은 15∼54세 기혼 여성 중 17.2%를 차지했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고 결혼(26.3%), 임신·출산(22.8%)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가사노동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부 중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과 아내 모두 20%가량에 그쳤다.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도 2019년 기준으로 남자가 56분, 여자가 3시간 13분으로 차이가 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도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54분, 아내는 3시간 7분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년 4천만 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다.

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천800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 비중은 46.4%까지 늘어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생산 가능 인구(46.1%)의 비중보다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은 130만 2천 명으로 2012년보다 33만 8천 명 늘었다.

다문화 가구는 2021년 기준 38만 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7%를 차지했다.

외국인을 우리나라 국민으로 수용하는 정도는 10점 만점에 5.3점이었다.

 

Copyright ⓒ 캐플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