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노래도 살려내는’ 틱톡 필수시대 [케이팝과 틱톡의 동행①]

‘죽은 노래도 살려내는’ 틱톡 필수시대 [케이팝과 틱톡의 동행①]

데일리안 2024-05-10 14:03:00 신고

3줄요약

틱톡으로 케이팝 역주행 사례 늘어나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매각 법률 제정

현재 숏폼을 대표하는 플랫폼 틱톡이 전 세계 음악 산업에 막강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2023년 3월 첫 주 빌보드 핫100에 차지한 곡은 위켄드와 아리아나 그란데의 '다이 포유'(Die for you)였다. 이 곡은 2016년 발표된 곡이지만 틱톡에서 인기를 끌자 7년 만에 차트에서 역주행을 이뤘다. 2022년 2월 빌보드 핫100 9위에 진입했던 18세 싱어송라이터 게일의 '에이비씨디이에프유'(abcdefu)도 6개월 전 발표된 곡이지만 틱톡 영향으로 뒤늦게 히트한 사례다. 19주 동안 핫100 1위를 수성해 ‘빌보드 최장기간 1위곡’라는 타이틀을 얻은 릴 나스 엑스의 '올드 타운 로드'(Old town rdad) 역시 틱톡발 인기로 시작된 곡이었다.

ⓒ

숏폼 대표 플랫폼 틱톡(TikTok)은 현재 전 세계 음악 산업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15초~15분 길이의 짧은 비디오 영상을 제작‧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 음악 시장을 흔들고 있는 셈이다.

이에 빌보드는 공식적으로 틱톡 차트를 만들어, 매주 틱톡에서 인기를 끈 노래들을 선정해 지난해 10월부터 발표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하위문화라고 여겨졌던 틱톡이 이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는 걸 공식적으로 입증된 셈이다.

틱톡은 빠르게 재미와 감동, 웃음을 전달하고, ‘좋아요’, ‘댓글’, ‘공유 기능’을 통해 빠르게 퍼져나간다. ‘정보 과다’‧‘자극적 콘텐츠 과다’로 인해 이용자의 집중 시간이 점점 짧아지는 온라인 세상에서 가장 효율적인 플랫폼이 됐다. 그러다 보니 홍보 차원에서도 기존의 문법과 달리 적은 수고와 시간을 들여 효과적인 바이럴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가성비 좋은 홍보 도구가 됐다.

팬데믹 이후 야외 활동이 제한되자 온라인 이용이 늘면서 틱톡의 인기는 더 높아졌다. 데이터분석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1분기(1~3월) 틱톡 다운로드 건수는 3억 1500만 건으로, 역사상 최단기간 최다 다운로드 수치다.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에 따르면,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의 60%에 해당하는 16~24세 소비자 중 82%는 숏폼 동영상 앱을 통해 새로운 노래나 가수를 발견한다고 답했다. 이는 오디오 스트리밍(72%), 비디오 스트리밍 (68%)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세계 음악 산업의 한 축으로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는 케이팝(K-POP)도 틱톡 내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실제 틱톡은 2023년 3대 트렌드를 발표했는데, 그 중 하나가 ‘K콘텐츠 강세’였다. 2023년 틱톡 글로벌에서 가장 주목받은 아티스트 TOP10에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엔하이픈, 르세라핌, 뉴진스 등 케이팝 아이돌 그룹 5팀이 포함됐다.

이는 당연히 국내 가요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틱톡이 한국 진출은 해외보다 대략 3~4년 정도 늦는다. 2020년 지코의 ‘아무노래’가 중독성 강한 노래와 안무 챌린지로 가수들에게 전파됐고, 대중들도 이에 호응했다. 현재까지도 ‘아무노래’ 관련 영상은 10만 건에 육박하고 있으며, 조회수 합산 1억 600만뷰를 돌파했다. 한국 가요계는 숏폼의 영향력을 체감했고, 이는 가요계 흐름을 바뀌는 신호탄이 됐다.

틱톡의 영향력이 점점 선명해지는 흐름 속에서 이제 가수들과 음반, 유통사들은 신곡 홍보 필수 플랫폼으로 틱톡을 활용한다. 노래에 특정 안무를 만들어 이용자가 따라 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해시태그를 타고 전 세계 어디든 퍼져나간다.

지난해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최고 순위 10위까지 오른 걸그룹 피프티피프티의 '큐피드'도 틱톡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인기로 이어진 사례다. '큐피드'는 댄스 챌린지를 통해 총 900만 개 이상의 틱톡 게시물이 업로드됐다.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10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틱톡은 이렇듯 국내외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며 대중성을 갖춰나가고 있지만 부작용도 존재한다. 저작권 침해와 알고리즘 투명성 의혹, 무분별한 콘텐츠 확산 등으로 꾸준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1월부터는 유니버셜 뮤직이 틱톡 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음원을 전부 삭제했다. 저작권료로 인한 충돌이 원인이다.

유니버셜 뮤직은 세계3대 레코드 레이블 기업으로 세계 음반 시장 점유율 1위를 자랑한다. 아리아나 그란데, 더 위켄드 등 세계적인 팝가수들이 소속돼 있다. 이들의 갈등은 케이팝 아티스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케이팝 가수들이 해외 진출할 시, 유니버셜 뮤직 소속 유통망을 이용한다. 현재 틱톡에서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스트레이 키즈, 르세라핌 등 유니버셜 뮤직을 통해 음원을 유통하는 케이팝 가수들의 음원이 삭제됐다.

또한 틱톡이 중국계 플랫폼으로, 중국 정부로부터 개인정보가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도 크다. 최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매각 법률이 제정됐다. 해당 법률은 틱톡 모회사인 중국기업 바이트댄스에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도록 하며, 기간 내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가 금지되도록 한다. 이에 틱톡 측은 소송전을 예고한 상태다.

한 가요 관계자는 "우리나라에 비해 미국이 틱톡 의존도가 더 높은 편이다. 당장 우리나라의 해당사항은 아니지만 케이팝이 빌보드 차트나 팝 시장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틱톡과 미국의 갈등 관계를 주목해야 한다. 각국의 규제 움직임에도 틱톡의 국제적으로 대중성을 확보했기 때문에, 쉽게 사그라들지 않겠지만, 미국에서 틱톡 사용자가 1억 7000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이번 갈등이 또 다른 흐름을 가져올 수 있어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라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