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지난주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정책 격화로 국내증시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펼쳤다. 이번주에도 관세전쟁의 불확실성이 계속 시장을 흔들 것으로 보여 반등을 점치긴 어려울 전망이다.
14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코스피는 전주 대비 32.70포인트(1.32%) 내린 2,432.72로 3주 연속 하락했다.
7일에는 지난해 8월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 낙폭(5.57%)을 기록했고, 9일(상호관세 발효일)에는 2023년 11월 이후 1년 5개월 만에 2300선이 무너졌다.
그러나 트럼프가 상호관세가 시작된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 대상국에 상호관세를 유예(90일)하고 10%의 관세만을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코스피가 5년여 만에 최대치인 하루 6.6% 폭등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매도·매수 사이드카가 연이어 발동되는 등극심한 변동성 장세 탓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반등세는 하루를 넘기지 못했다.
지난주(7~1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4조990억 원 규모를 순매도해 3주 연속 매도 우위를 보였고 7일에는 2021년 8월 13일 이후 최대이자 역대 5위 규모인 2조949억 원 순매도를 기록하기도 했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9035억 원, 2조5786억 원 규모 순매수세로 나란히 2주 연속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전기, 가스(4.19%), 건설(1.99%) 등 업종은 강세를 보인 반면 오락, 문화(-5.56%), IT서비스(-3.96%) 등 업종은 큰 폭으로 내렸다. 코스닥 지수는 전주 대비 8.20포인트(1.19%) 오른 695.59로 4주 만에 반등했다.
이번주 증시도 관세전쟁 여파가 이어지면서 불확실성 해소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 145%, 중국이 미국에 대한 관세 125% 와는 별개로 자동차와 철강에 대한 25% 품목관세, 모든 교역 대상국에 대한 10% 보편관세도 이미 부과된 상태다. 여기에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관세도 추가 변수다.
조병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추세적인 V턴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 불규칙한 등락 과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전망치를 2,350∼2,550으로 제시했다.
Copyright ⓒ 한스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