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주 소재 자동차 연구 센터(Center for Automotive Research)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 3대 제조사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25%로 인해 약 420억 달러의 제조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미국 3대 제조사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자동차 한 대당 평균 수입 부품에 4911달러의 관세 비용이 부과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에 생산 공장을 보유한 현대차와 기아 역시 대당 평균 4239달러의 관세 비용 부담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현대차, 기아같이 미국 외에서 차량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대당 평균 관세 비용이 8722달러가 부과될 것으로 봤다. 약 1300만 원의 관세 비용 부담이 자동차 제조사에 부과되고 이 비용이 곧 자동차 가격에 반영돼 소비자에 부담될 수 있다는 뜻이다. 맷 블런트 미국 자동차 정책 위원회 회장은 이번 연구에 대해 “25% 관세가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비용을 초래할 것임을 보여준다”며 “미국 3대 제조사 등은 미국 자동차 생산량 증대를 위해 행정부와 지속적으로 대화할 것”이라고 했다.
국내 생산분의 미국 수출량이 늘어나고 있는 국내 자동차 회사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현대차의 미국 수출량은 2021년 36만6012대에서 지난해 63만6525대로 74% 늘었고 기아 역시 같은 기간 24만3136대에서 37만7396대로 55% 증가했다. 한국지엠의 경우 15만7863대에서 41만8782대로 무려 165% 급증했다. 관세 25%의 직격탄을 맞게 될 물량이 그만큼 늘어난 셈이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올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대비 18.59% 줄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 347억 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약 9조4000억 원의 수출 감소가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준공식을 연 조지아주 소재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중심으로 미국 내 차량 생산량을 120만 대까지 높여 관세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4월 4일부터 6월 2일까지 약 2개월간 미국 내에서 차량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EV라운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