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며 조기대선 정국이 시작된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이 대선 국면에서 자숙해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헌재의 파면 결정을 수용한다는 여론은 52.2%였으나 수용할 수 없다도 44.8%로 나타나 국민 여론의 분열이 극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수층에서는 대다수(69.3%)가 수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모든 지역 연령서 "자숙해야" 우세.. 보수층, 자숙 42.5% 개입 38.4%
리서치뷰가 KPI뉴스 의뢰로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조기 대선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의 거취를 묻는 질문에 '국가적 위기를 초래한 당사자로서 자숙해야 한다'는 68.6%, '파면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대선에 개입해야 한다'는 20.6%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과 지역에서 '자숙해야 한다'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보수층에서는 '자숙해야' 42.5% '대선에 개입해야' 38.4%로 오차범위 내였다.
또, 같은 조사에서 정권연장을 바라는 응답자들의 49.6%가 '대선 개입'을 지지했다.
진보층 72.8% "파면 결정 수용" 보수층 69.3% "수용 못해"
같은 조사에서 헌재의 윤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 '수용한다'는 52.2%, '수용할 수 없다'는 44.8%로 나타났다.
수용의 강도는 정치 성향에 따라 크게 엇갈렸다. 진보층에서는 '수용한다'가 72.8%로 압도적이었으나 보수층에서는 '불수용'이 69.3%로 집계됐다. 중도층에서는 58.9%가 '수용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 서울(50.0%), 인천/경기(52.9%), 광주/전라(60.6%), 부산/울산/경남(52.5%)에서는 과반이상이 '수용한다'고 답했으나 대전/세종/충청에서는 '불수용'이 50.8%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수용 49.5% 불수용 45.9%였다.
한편, 탄핵 선고 후 정국 전망에 대해서는 '안정될 것'이 56.9%, '혼란스러워 질 것'은 40.6%로 집계됐다.
진보층(83.2%)과 중도층(66.4%)은 대부분 안정될 것이라고 봤고, 보수층의 72.3%는 혼란스러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100%·ARS·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3.8%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