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연패 뒤 4연승을 거두며 '1약' 평가를 비웃고 있는 키움 히어로즈. 프로 입성 3년 차 우완 투수 박윤성(21)의 수훈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키움은 지난 26일 광주 KIA 타이거즈전에서 17-10 승리, 3연패를 끊고 시즌 첫 승을 거둔 뒤 이후 치른 세 경기도 모두 승리하며 4연승을 거뒀다. 26일 KIA전은 신인 투수 정현우가 데뷔전에서 공 122개를 던져 '혹사' 논란이 일었던 경기다. 하지만 신인 선수가 보여준 승리 의지와 불편함을 드러낸 외부 시선에 내부 단합이 이뤄졌는지, 이전보다 탄탄해진 공·수 밸런스를 보여주고 있다.
7경기 연속 타점을 올리며 KBO리그 이 부문 타이기록을 세운 루벤 카디네스, 고비마다 장타를 쏘아 올린 야시엘 푸이그와 최주환, 첫 등판 부진을 딛고 쾌투를 선보인 '원투 펀치' 케니 로젠버그·하영민 등 4연승 주역으로 평가받는 선수들이 많다.
하지만 빼놓을 수 없는 선수가 바로 박윤성이다. 그는 KIA 3연전 위닝시리즈(3연전 2승 이상)를 해낸 27일 키움이 9회 초 3득점하며 5-3으로 역전한 상황에서 마운드에 올랐고, 선두 타자 김규성을 삼진, 김선빈에게 2루타를 맞은 뒤 상대한 패트릭 위즈덤과 나성범을 각각 중견수 뜬공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이날 홍원기 키움 감독은 2-3, 1점 지고 있던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 주승우를 8회에 투입하는 승부수로 승리 의지를 드러냈고, 주승우가 무실점으로 8회를 막아낸 뒤 이어진 9회 초 1사 1·2루에서 최주환이 2타점 2루타를 치며 역전을 만들었다.
'지키는 야구'가 절실했던 상황. 이미 이강준과 원종현, 공이 빠른 옆구리 투수들을 쓴 홍 감독은 박윤성에게 마지막 1이닝을 맡겼다. 박윤성은 상대 주축 타자들이 차례로 나서는 부담스러운 상황을 이겨냈다.
박윤성은 2023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전체 26순위) 지명, 지난해(2024) 1군 무대에 데뷔해 17경기에 등판했다. 18과 3분의 2이닝 동안 12점을 내주며 5점 대 평균자책점(5.79)를 남겼다. 인상적인 투구를 보여준 건 아니었다.
포심 패스트볼(직구)은 140㎞/h 중반 수준이다. 하지만 구속에 비해 공 끝이 좋다는 평가다. 올 시즌도 직구 구사율이 78.6%에 이를만큼 자신감을 갖고 뿌렸다.
올 시즌 등판한 세 경기에서 보여준 박윤성의 투구는 비범하다. 진흙 속의 진주, 아직 저평가된 박윤성의 2025시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