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에 외식 장소로 인기를 끄는 의외의 장소가 있다.
바로 백화점 식당가다.
외식 물가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의 발길이 백화점으로 향하고 있다. 한 장소에서 여러 음식 종류를 해결할 수 있는데다, 워낙 외부 식당 가격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백화점 식당가가 더 낫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백화점에서는 보통 한 층에 식당, 카페 등을 모아둔다. 푸드 코트라고 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간편식을 파는 곳도 있다.
또한 백화점에는 주차장, 수유실, 휴식 공간 등 편의 시설도 있어 여러 곳을 다니며 경비를 지출하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라는 분석도 있어 보인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지난 1월부터 지난 26일까지 전국 지점 식당가 매출이 전년에 비해 12.6%나 증가했다.
이에현대백화점은 저녁 시간 유명 레스토랑의 가격을 40% 할인하는 '다이닝 위크'도 매월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외식 물가는 오른 데 비해 직장인 월급은 제자리다.
지난 2월 통계청은 '2023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12월 임금근로일자리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세전 363만 원으로 전년보다 2.7% 증가했다. 전체 임금근로자 소득을 기준으로 중간값을 의미하는 중위소득은 278만 원이다. 전년 대비 4.1%(11만 원) 증가했다.
2023년 월급 인상률(2.7%)은 2016년도 수치부터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낮다. 같은 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6%)보다 1%포인트 가까이 낮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539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비영리기업(349만 원), 중소기업(298만 원) 순이었다. 대기업은 0.4%(2만 원), 비영리기업은 0.9%(3만 원)로 상승률이 1%를 밑돌았다. 중소기업은 4.3%(12만 원) 올랐으나 대기업과의 임금총액에서는 격차가 컸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