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5개단체 “소속사, 더 이상 ‘갑’ 아냐…누가 약자인지 봐야”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K팝 5개단체 “소속사, 더 이상 ‘갑’ 아냐…누가 약자인지 봐야”

스포츠동아 2025-02-27 11:52:33 신고

3줄요약
최광호 한국음악콘텐츠협회 사무총장이 27일 서울 강남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열린 음악산업의 공정한 권리 보호를 위한 음반제작자 기자회견에서 발제하고 있다. 주현희 기자 teth1147@donga.com

최광호 한국음악콘텐츠협회 사무총장이 27일 서울 강남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열린 음악산업의 공정한 권리 보호를 위한 음반제작자 기자회견에서 발제하고 있다. 주현희 기자 teth1147@donga.com

한국매니지먼트연합,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한국음반산업협회, 한국음악콘텐츠협회 등 한국 대중음악 관련 5개 단체가 소속사와 스타들의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27일 반포 JW메리어트호텔 서울에서는 5개 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 ‘Let’s keep a promise : 음반제작자가 없다면 K-팝도 없다!’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한국음악콘텐츠협회 최광호 사무총장은 “케이(K)팝 산업의 근간은 기획사와 가수가 맺은 전속계약이다. 서로의 발에 매듭을 묶고 뛰는 2인3각 경기와도 같다. 이제는 단순한 고용인과 피고용인 관계가 아니다. 소속사라는 법인사업자와 가수라는 개인사업자가 함께 하는 동업자 관계”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이 매듭이 위협받고 있다. 심지어 기획사에서 가수에게 매듭을 풀어도 된다고 유혹하는 부도덕한 기획사들, 기획사에 고용된 프로듀서들, 숨은 거대자본이 생겨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획사의 입장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탬퍼링(사전 접촉 및 사전 전속계약 행위), 전속계약 위반 이슈는 메이저 기획사부터 작은 기획사까지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다. 더 이상 기획사는 ‘갑’의 위치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최 사무총장은 특히 “양자간 존중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지난해 뉴진스 멤버 하니가 모기업 하이브 산하 빌리프랩 매니저로부터 ‘무시해’라는 발언을 들었다며 소속사 어도어의 아티스트 보호 책임 불이행을 주장한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연봉 5000만원을 받는 매니저가 수억 원의 수익을 얻는 뉴진스에게 ‘무시해’고 말했다고 한다. 가수는 사과를 요구했고, 매니저는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면서 “이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 아직 알지 못하고, 어느 한쪽에 서서 편들고 싶지 않다. 다만 두 당사자 주장을 공평하게 경청하려 했는지 자문해야 한다. 유명가수의 주장을 들었다면 이름 모를 매니저의 의견도 받아봐야 한다는 것”이라고 짚었다.

더불어 “‘유명무죄, 무명유죄’다. 높은 인지도와 팬들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이들의 주장이 기정사실화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기획사 인권은 누가 지켜줄 수 있겠느냐. 누가 진정한 사회적 약자인지 뒤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지혜 기자 yjh0304@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