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씁쓸한 시총 1위"...'반도체' 발목, 5년만에 바닥 찍은 삼성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씁쓸한 시총 1위"...'반도체' 발목, 5년만에 바닥 찍은 삼성

한스경제 2025-01-29 09:26:12 신고

/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이호영 기자] 삼성그룹의 반도체 사업 위기와 충격은 현재진행형이다. 삼성그룹 시총은 여전히 국내 1위를 달리지만 5년만에 최저다. 

29일 한국거래소가 공정위 대기업집단 지정 그룹사의 시총 변화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삼성그룹 시총은 지난해(2024년)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700조원을 훌쩍 넘었던 2023년에 비해 23.44%가 줄어들었다. 2019년 514조1120억원 이후 최저다. 

삼성전자의 부진이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지난해 주가는 32.23% 날아갔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 지연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에서 소외됐다. 이에 더해 범용 메모리 경쟁 심화와 가격 하락, 파운드리 사업 침체 등 위기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되고 있다. 

한편 SK그룹은 지난해 말 기준 시총 202조7280억원으로 2021년 이후 3년만에 2위를 되찾았다. 주가가 22.90% 오른 SK하이닉스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같은 기간 LG그룹은 시총 144조6460억원으로 한 단계 떨어진 3위였다.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이차전지·석유화학 등에서 고전한 결과로 읽힌다. 현대차그룹은 시총 141조6520억원으로 4위를 지켰다. HD현대그룹은 시총 76조8400억원으로 5위다. 

이외 카카오그룹(35조420억원)과 네이버그룹(31조5130억원)이 시총 30조원을 넘기며 10위권에 든 게 눈에 띈다. 시총 6위는 셀트리온그룹(43조610억원), 7위는 포스코그룹(42조5000억원), 8위는 한화그룹(41조4640억원)이다. 2021년까지 시총 10위를 유지했던 롯데그룹은 2022년부터 10위권 밖으로 밀렸다. 

Copyright ⓒ 한스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