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5곳 '설 명절 6일 휴무'...경기 체감 5년만에 최악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기업 10곳 중 5곳 '설 명절 6일 휴무'...경기 체감 5년만에 최악

아주경제 2025-01-19 12:34:35 신고

3줄요약
경총
[그래프=경총]


국내 기업 10곳 중 5곳은 설 연휴에  6일을 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기업 10곳 중 6곳은 설 경기가 적년보다 악화됐다고 느꼈는데,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직원 5인 이상 60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 휴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 휴무 실시 기업 45.0%는 6일간 휴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올해 설 연휴는 주말(1월 25∼26일), 임시공휴일(27일), 설 공휴일(28∼30일)까지 이어져 최대 9일까지 쉴 수 있다.

이어 '5일 이하'라는 응답 비율은 25.0%였다. 9일 이상 장기 휴무하는 응답 기업 비율은 22.1%로 집계됐다.

일반적 휴일인 6일을 초과해 7일 이상 쉬는 기업 31.8%는 장기 휴무 이유로 '근로자 편의 제공 차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단체협약, 취업규칙에 따른 의무적 휴무 실시'(25.3%), '연차휴가 수당 등 비용 절감 차원'(21.2%), '일감 부족에 따른 생산량 조정'(15.3%) 등의 순으로 답이 나왔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42.2%)에서 '7일 이상 휴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5일 이하 휴무 응답은 300인 미만 기업(26.2%)이 300인 이상 기업(15.6%)보다 높았다.

올해 설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62.4%로, 지난해(64.5%)에 비해 2.1%포인트(p) 감소했다.

설 상여금 지급 방식은 '정기상여금만 지급'(65.7%)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별도 상여금만 지급'(24.4%), '정기상여금 및 별도 상여금 동시 지급'(9.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별도 상여금이랑 단체협약에 명시된 것이 아닌 사업주 재량으로 지급하는 상여금을 말한다.

별도 설 상여금 규모를 묻는 말에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이라는 응답이 81.7%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외 '전년보다 많이 지급'은 14.2%, '전년보다 적게 지급'은 4.2%로 집계됐다.

한편, 올해 설 경기 상황에 대해선 '작년보다 악화'라는 응답이 60.5%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는 최근 5년(2021∼2025년)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작년보다 개선'이라는 응답 비율은 4.4%에 불과했다.

올해 실적을 달성하는데 가장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은 '제품 수요 부진'이 61.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53.2%), '누적된 인건비 상승'(44.6%), '높은 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상승'(24.1%) 등이 뒤를 이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