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 위해제품 약 2천건 차단…가전·아동용품 많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알리·테무 위해제품 약 2천건 차단…가전·아동용품 많아

연합뉴스 2024-11-20 12:00:03 신고

공정위·소비자원, 블랙프라이데이 등 직구 주의 당부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정부가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직접구매(직구)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위해제품 판매 링크와 페이지 약 2천건을 차단했다.

차단된 제품 중에는 가전·전자기기와 아동·유아용품이 가장 많았고, 유해 물질 검출이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알리·테무 위해제품 약 2천건 차단…가전·아동용품 많아 알리·테무 위해제품 약 2천건 차단…가전·아동용품 많아

20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1천915건의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위해제품 판매 및 재판매 링크와 페이지를 차단했다.

이는 지난 5월 13일 알리익스프레스 레이 장 한국 지사장과 쑨친 테무 공동설립자 겸 한국법인 대표가 공정거래위원회와 '자율제품안전협약'을 맺은 데 따른 조치다.

1천915건 중 506건은 소비자원과 환경부·식약처·관세청·국가기술표준원·서울시·경기도가 알리·테무 판매 제품 중 안전성 조사 결과 부적합 판정이 나온 제품을 차단한 사례다.

1천52건은 미국 등 해외에서 안전기준에 위배돼 리콜된 알리·테무 판매제품의 국내 유통을 차단한 경우다.

그밖에 357건은 부적합 판정을 받거나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 재유통되는 것을 막은 사례다.

차단 제품을 품목별로 보면 가전·전자·통신기기가 631건(33.0%)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유아용품 588건(30.7%), 액세서리류 293건(15.3%) 등 순이다.

가전·전자·통신기기 차단 사례 중 359건(56.9%)은 납과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감전 위험, 폭발·과열·발화 등도 차단 이유로 꼽혔다.

아동·유아용품 차단 이유는 유해 물질 함유가 281건(47.8%), 부품탈락 및 질식위험이 238건(40.5%)을 각각 차지했다.

액세서리류는 293건 모두 유해 물질 함유로 판매가 차단됐다.

정부의 안전성 조사 결과 및 해외리콜 정보는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또는 공정위 '소비자24'(www.consumer.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해외직구를 통한 위해제품의 국내 유입이 계속되는 만큼 감시를 강화하고 '해외위해물품관리실무협의체'에 참여하는 정부 부처·기관을 중심으로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와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블랙프라이데이(미국 11월29일), 박싱데이(영국 12월26일) 등 대규모 할인행사로 연말 해외직구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직구 시 제품의 구성·성분 등을 주의 깊게 살펴달라고 당부했다.

주요 품목별 위해 사유…유해물질 함유가 최다 주요 품목별 위해 사유…유해물질 함유가 최다

[한국소비자원 자료]

noanoa@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