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이상명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으로의 전환을 위한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21일 경기 의왕시에 위치한 현대차·기아 의왕연구소에서 신기술 전시회 ‘이포레스트 테크데이 2024(E-FOREST TECH DAY 2024)’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현대차·기아 제조솔루션본부와 협력사가 제조 기술 혁신을 통해 SDF 구현을 가속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올해로 5회차를 맞았다.
이재민 현대차·기아 이포레스트(E-FOREST)센터 상무는 “현재 자동차 산업은 데이터 학습을 통해 성장하고 있으며, 제조 능력은 데이터의 양과 질에 따라 결정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SDF의 구현이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제품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포레스트는 고객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조 시스템의 혁신을 추구하는 현대차와 기아의 스마트공장 브랜드로, AI와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및 인간 친화적인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SDF는 데이터 연결 및 디지털 전환을 통해 소프트웨어 중심의 새로운 생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200여 건의 혁신 기술이 전시됐다. 주목할 만한 핵심 기술로는 ▲물류로봇(AMR) 주행 제어 내재화 기술 ▲비정형 부품 조립 자동화 기술 ▲무한 다축 홀딩 픽스처 기술 ▲SPOT 인더스트리 와이드 솔루션 ▲UAM 동체 및 날개 자동 정렬 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무한 다축 홀딩 픽스처 기술’은 도어, 후드, 휠 등 각종 파트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별도의 픽스처 없이 하나의 픽스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해주며,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공장 유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 외에도 물류 로봇과 AI 비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정형 부품 조립 자동화 기술이 소개됐으며, 생산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는 이포레스트 기술을 통해 하드웨어 기반의 제조 환경을 벗어나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변화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조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상무는 “이포레스트는 제조 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자율 제조 산업 발전을 리딩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이포레스트 테크데이 2024’ 행사에는 약 9000명의 현대차그룹 임직원, 협력사, 대학 및 정부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해 미래 제조 공장을 선도할 신기술을 공유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는 SDV(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에 이어 SDF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혁신적인 모빌리티 제조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