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현지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극심한 가뭄이 들자 야생 동물을 잡아 식량난을 해결하고 있다.
나미비아 환경산림관광부는 굶주린 국민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국립공원에서 총 700마리 이상의 하마, 코끼리, 얼룩말 및 기타 동물을 죽여 주민들에게 나누어줬다고 밝혔다.
짐바브웨 공원 및 야생동물 관리국도 최근 코끼리 200마리를 죽여 식량 부족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고기를 나누어 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16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경제 공동체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는 엘리뇨(해수가 따뜻해지는 현상)로 인한 가뭄으로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약 6800만명의 인구가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에 따르면 이 지역은 100년 만에 가장 건조한 2월을 보냈으며 농작물 생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시기에 평소대비 20%에 달하는 강우량을 기록했다. 이로인해 많은 인구가 식량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WFP는 나미비아의 경우 인구 절반에게 식량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나미비아, 말라위, 레소토, 보츠와나, 잠비아, 짐바브웨는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앙골라, 모잠비크, 에스와티니, 남아프리카공화국도 가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지역 정부들은 덩치 큰 동물들을 사냥하면 주민들의 굶주림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동물들의 물소비도 줄여 물 부족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미비아 당국은 전문 사냥꾼과 사파리 업체를 고용해 사냥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8월26일을 기준으로 이미 262마리의 동물이 살처분돼 약 12만5000파운드의 고기가 생산됐다고 밝혔다.
이에 환경 또는 동물 단체들은 격렬히 반발하고 있다.
비영리 동물 복지 단체 '세계 동물 보호국'의 아프리카 담당 이사 테니슨 윌리엄스는 "가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코끼리를 죽이는 것만으로는 긴급한 식량 위기를 해결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
그는 "남아프리카 국가들이 일단 인조주의적 원조를 모색하고 장기적으로 관개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