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원장 "배달앱 상생안 미진하면 입법 통한 제도개선"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공정위원장 "배달앱 상생안 미진하면 입법 통한 제도개선"

머니S 2024-10-06 11:41:12 신고

3줄요약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배달앱 상생안이 사회적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입법을 통한 제도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한 위원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배달앱 상생안이 사회적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입법을 통한 제도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한 위원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의 상생협의 논의가 사회적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입법을 통한 제도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6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상생안 도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아직 생산적인 결론은 못 낸 상황"이라며 이같은 의사를 전했다.

정부는 지난 7월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회를 출범했다. 그동안 다섯차례의 회의가 진행됐지만 수수료 등에 대해 유의미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상생안 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최근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앱 내 배달매출액에 따른 차등 수수료 적용을 골자로 하는 상생안을 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의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위원장은 "입법을 통한 제도적 개선보다는 당사자가 상생을 통해서 합리적인 안을 내는 게 최선"이라며 "우선은 상생협의체를 통해서 합리적인 방안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0월까지 상생협의체에서 결론이 나지 않는다면 정부가 직접 나서 방안을 찾아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배민 등 배달앱 3사의 '최혜대우 요구'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한 위원장은 "일부 배달앱이 입점업체를 대상으로 이중 가격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조사 중"이라며 "경쟁 제한 요건이 충족되면 공정거래법 위반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프랜차이즈 업체의 필수품목 과다 지정 문제에 대해서는 "햄버거나 치킨 등 업종에서 냅킨과 물티슈 등 공산품을 필수품목으로 지정한 사건에 대해 심의를 앞두고 있다"며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거대 플랫폼 독과점 규제를 위한 제도 개선 방식이 신법 제정에서 현행법 개정으로 바뀐 것과 관련해 "신속한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현행 공정거래법을 개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며 "시장 안착을 위해서도 법 제정보단 개정이 훨씬 더 쉽다는 게 공정위의 관점"이라고 부연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