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추석 연휴엔 없을까…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시작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응급실 뺑뺑이' 추석 연휴엔 없을까…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시작

머니S 2024-09-11 08:02:45 신고

3줄요약

추석 연휴를 대비한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이 11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운영된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 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게시된 모습. /사진=뉴스1 추석 연휴를 대비한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이 11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운영된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 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진료 지연 안내문이 게시된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추석 연휴를 대비해 11일부터 2주 동안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을 운영한다.

11일 뉴시스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부터 오는 25일까지 2주 동안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을 운영해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의료 공백' 대응에 나선다.

정부는 응급의료 전달 체계를 강화하고 추석 연휴 문 여는 당직 의료기관을 확대할 계획이다. 연휴 기간 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의들의 보상도 대폭 늘린다.

복지부에 따르면 작년 추석 연휴 응급실 이용 환자는 전주 대비 72% 증가했다. 경증 환자 비중도 추석 전주 50.4%에서 추석 연휴 기간 60.4%까지 늘어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경증 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이 아닌 지역의 병·의원을 이용을 장려하고 대형병원 응급실은 중증·응급환자 위주로 진료를 볼 수 있도록 대응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44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더해 136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중 진료 역량을 갖춘 15곳 내외를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한다. 이곳에서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1~2에 해당하는 중증·응급환자를 먼저 수용한다.

또 KTAS 1~2등급에 해당하는 환자만 진료하는 '중증전담응급실'도 29곳 이상 지정한다. 중증전담응급실은 전체 응급환자의 15~20%에 해당하는 중증 환자 치료에 집중한다.

KTAS 1~2등급은 생명이나 사지에 위험이 있어 빠른 처치가 필요한 상황으로 심정지, 중증 외상, 호흡곤란, 극심한 흉통, 복통, 두통, 토혈, 의식장애 등이 해당한다.

KTAS 4~5등급으로 구분되는 경증 환자나 비응급 환자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90%까지 인상한다.

대신 경증·비응급 환자를 포함한 국민의 의료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당직 병·의원을 확대한다.

지자체에서 신청받은 결과 지난 9일 기준 추석 연휴에 문 여는 당직 병·의원은 잠정 일평균 7931곳으로 확대됐다. 14일 2만7766곳, 15일 3009곳, 16일 3254곳, 17일 1785곳, 18일 3840곳이 문을 연다. 응급의료기관 및 시설은 매일 전국에서 518곳이 운영된다.

추석 연휴 의료기관에 나와 환자들을 보는 의료진에 대한 보상도 늘었다. 우선 추석 연휴 문 여는 의료기관의 진찰료와 약국 조제료는 평소 공휴일 수가 가산율 30%를 적용했으나 올해 추석은 한시적으로 50% 수준으로 인상한다.

복지부는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와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통해 방문할 수 있는 응급실과 병·의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119 또는 129로 전화하거나 네이버·카카오 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