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0일 오후 9시(한국시각 11일 오전 10시)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국립헌법센터에서 열리는 ABC뉴스 주관 대선 토론에서 대결한다.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친환경 정책 기조가 바뀔 수 있는 만큼 국내 에너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상반된 에너지 정책관을 가지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대부분 계승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IRA(인플레이션감축법)와 칩스법(반도체과학법)을 시행해 4000억달러(약 548조원) 이상의 세금 공제, 대출, 보조금을 국내외 기업에 제공해왔다. 미국 러스트벨트(미 중서·북동부 공업지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자국을 디지털·탈탄소화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경제의 고물가 원인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미 영토 안의 화석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석유와 가스 시추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선거의 주요 구호는 시추를 독려하는 의미의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이다.
한국전력경영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에너지 예상 정책에 대해 "에너지 비용 증가를 유발하는 재생에너지 관련 보조금도 없앨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플레이션 억제,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저렴한 에너지·전기 제공에 주력할 것이란 분석이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 시절 IRA 보조금 혜택을 노리고 대규모 투자에 나서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IRA의 AMPC(첨단제조세액공제) 혜택이 축소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IRA 영향을 받는 태양광 업계도 각종 리스크 대응을 위해 내부 검토를 진행 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력한 대중제재에 따른 반사이익도 기대할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유와 석유화학, 원전은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을 기대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취임 직후 원전의 부활을 선언한 바 있다.
SMR(소형모듈원전), 전력기기, 전선 산업 등은 대선 결과에 관련 없이 확대될 전망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미래 에너지 수단으로 SMR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로 전력기기와 전선 산업 등의 미국 내 입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보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양당의 정책이 나뉘는 부문은 친환경·에너지, 세금, 외교, 복지·헬스케어 등 네 가지"라며 "특히 필라델피아, 미시간, 위스콘신 등 경합주가 밀집된 러스트 벨트를 대상으로 한 제조업 및 에너지 관련 정책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