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두고 강한 비판을 남겨 주목받고 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5일 페이스북에 글을 남기며 대통령의 경축사에 일본의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유 전 의원은 "대통령의 경축사에는 일본이 없다. 참으로 이상하고 기괴한 일"이라고 말하며, 윤 대통령의 경축사가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65일 중 오늘(광복절)만큼은 분명 통한의 역사를 기억하고 침략자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고 일본의 반성을 촉구해야만 하는 날"이라며 "이건 보수와 진보, 좌와 우를 가리지 않고 모두가 광복절에 해야 할 역사의 경건한 의식과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대통령의 경축사에는 일본이 없다. '일제의 패망'이란 말이 딱 한 번 등장한다"고 덧붙이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본에 대한 언급이 사라진 것에 대한 실망감을 나타냈다.
유 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통일'을 강조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통일을 말하기 전에 35년간 일본의 식민 지배 시절 우리 민족이 당했던 고난의 역사를 말하고 일본의 죄를 말해야만 한다"고 했다. 과거의 역사적 사건들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유 전 의원은 "114년 전부터 79년 전까지의 오래된 역사라서 잊어버린다면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이 통일인들 어떻게 할 수 있겠느냐"고 경고했다.
더 나아가 "강제징용, 위안부, 홍범도 흉상, 사도광산 등 윤석열 정권 들어 역사가 흔들리고 있다"며 "이러다가 독도까지 잘못되는 거 아닌지 걱정된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러한 유 전 의원의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비판을 넘어, 역사적 진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경각심을 일깨우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윤 대통령의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 일본과의 과거사를 언급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일본 언론도 이례적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일본으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는 광복절 행사에서 역사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다(니혼게이자이신문)" "과거 한국 대통령의 광복절 연설에서는 역사 문제 등을 둘러싼 대일 비판을 담는 사례가 많았으나, 대일 관계를 중시하는 윤 대통령의 연설에서는 작년에 이어 일본 비판이 전무했다(마이니치신문)" 등의 말을 남겼다.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읽으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오늘이 어떤 날인지, 광복은 어떤 의미인지 의문이 듭니다.
365일 중 오늘만큼은 분명 통한의 역사를 기억하고 침략자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고 일본의 반성을 촉구해야만 하는 날입니다.
이건 보수와 진보, 좌와 우를 가리지 않고 모두가 광복절에 해야 할 역사의 경건한 의식과 같습니다.
그런데 대통령의 경축사에는 '일본'이 없습니다.
'일제의 패망'이란 말이 딱 한번 등장합니다.
광복절에 통일을 말하다?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통일을 말하기 전에 35년간 일본의 식민 지배 시절 우리 민족이 당했던 고난의 역사를 말하고 일본의 죄를 말해야만 합니다.
광복후 분단과 전쟁의 참사를 겪은 것도, 그래서 오늘 대통령이 통일을 말하게 된 것도, 일본에게 이 나라의 주권을 강탈당한 피지배의 역사 때문임을 결코 잊어선 안됩니다.
114년 전부터 79년 전까지의 오래된 역사라서 잊어버린다면,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이 통일인들 어떻게 할 수 있겠습니까?
강제징용, 위안부, 홍범도 흉상, 사도광산 등 윤석열 정권 들어 역사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광복절에 이어 오늘도 대통령의 경축사에서 일본이 사라졌습니다.
이러다가 독도까지 잘못되는 거 아닌지 걱정됩니다.
참으로 이상하고 기괴한 일입니다.
미국 대선판에 등장한 'weird'란 단어가 이럴 때 쓰는 말인가 봅니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