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으로 채집됐다.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에 따르면, 이 모기는 지난달 26일에 발견됐다.
다행히도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연구원 측은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발견으로 즉각적인 방역 조처를 하기로 했다. 추가 방제를 요청하고, 주거지역에 대한 모기 감시 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
'작은빨간집모기'는 8월부터 9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견되는 모기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에 흡혈 활동이 활발하다. 이 모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특히 최근 남부지방에서 7월 초부터 발생 밀도가 증가하고 있다.
8월과 9월에는 이 모기의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데, 올해는 잦은 비와 높은 기온으로 인해 모기 개체 수가 급증했다고 전해진다.
연구원 측은 "서울에서 모기가 발견된 만큼 다른 지역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뇌염은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과 두통 등 가벼운 증상에 그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 발작 등 심각한 증상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미 지난달 25일에 일본뇌염에 대한 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서울시에서도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발견된 만큼 연구원은 모기 조사 사업을 강화해 모기 감염병 예방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야외 활동 시 기피제를 사용하고 집안의 방충망 등을 정비할 것을 당부했다.
여름철 휴가지에서도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발열이나 두통 등의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